대구시가 대구의 미래를 책임질 지역대학의 경쟁력 강화에 본격 나서겠다고 한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달 26일 민선 6기 3주년 기자간담회에서 “대학이 지역산업을 이끌어 가는 기술과 인재양성의 실질적 산실이 돼야한다”고 말하고 대구의 부흥과 성장에 지역대학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대구시는 `지역대학 육성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대구경북연구원에 맡겼다. 연구대상학교는 대구와 경산에 있는 대구권 15개 대학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대구권 대학들의 성적표와 함께 경제,산업발전의 중심축이 될 수 있는 역할을 찾을 것이라 했다. 또 대학별 특성화 방안과 산·학·연·정의 협업방안도 도출한다고 했다. 대구시의 이런 계획은 대구시와 지역대학, 산업체 등이 함께 노력해 지역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자는 데 목적이 있다. 지금 지방도시가 안고 있는 위기적 상황에 적합한 대응이라 생각한다.

대학의 사명은 지식의 본질 연구와 전달, 학문의 발전 및 인간형성에 주력하는데 있다. 특히 이러한 이념을 극대화하고 각 지방의 사회경제적 발전에 참여함으로써 국가적 요구에 부응하는데 있다고 보면 옳다. 독일의 한 철학자는 대학은 “가장 현명한 의식이 만개할 수 있도록 사회와 국가가 그 존재를 보장하는 곳”이라고 일찍이 설파한 바 있다. 대학이 가진 이념과 현실을 적절하게 나타낸 말이다.

앞으로 본격적인 지방화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우리는 본다. 현 대통령이 연방제에 버금가는 지방분권형 개헌을 약속했고, 이를 실행할 부처인 행자부의 김부겸 장관 의지도 높기 때문이다. 중앙집권적 체제로 인한 국가적 낙후성을 탈피하고 국민 모두가 골고루 잘 살기 위해서는 지방분권형 개헌은 시대적 명제다.

지방분권시대에 가장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할 기관으로는 역시 대학이 우선 영역이다. 그동안 중앙집권적 정책 구도 속에 우왕좌왕 했던 발걸음을 멈추고 스스로 지역과 상생하는 길을 찾는 것도 지방분권제와 유관한 관계에 있다. 현재 대구경북 대학들은 수도권을 제외하면 전국 최고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우수한 인재를 중앙으로 뺏기고 지역과 상생을 못한 것은 중앙집권 통치가 큰 원인이었다.

대구시가 구상하고 있는 지역대학과의 협력 방안은 미래 10년을 내다본 우리사회의 장기적 전략구상이라 할 수 있다. 참여기관의 열의에 따라 기대이상의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참여 대학들도 그 취지를 알고 적극 호응하고 있어 시대적 상황에 맞는 결과들이 있기를 기대한다. 대학은 인적 물적 자원의 집합체다. 지역사회의 정신적 물질적 리더로써 기능적 역할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지역대학이 잘 살아야 지역사회도 잘 산다”는 말이 헛말이 아님을 보여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