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방미일정을 마치고 귀국했다. 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정상회담에서 한·미동맹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북핵 문제에 인식을 같이한 것은 큰 의미를 갖는다.

문 대통령은 회담이 끝난 뒤 가진 워싱턴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기대 밖의 대접을 받았고, 기대 밖의 성과를 거뒀다”고 자평했다. 지금부터 한·미동맹을 더욱 강화하고 `북핵해결`을 위해 어떻게 공조해나가느냐가 중요한 시점이다.

문 대통령은 방미 첫 일정부터 미국 측의 우려를 씻고 `한·미동맹`을 재확인하는데 공을 들였다. 장진호전투 기념비 헌화로 공식 일정을 시작하고, 미 상·하원 지도부 인사들과의 회동에서는 사드배치 번복 의사가 없음을 재차 강조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나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힘에 기반을 둔 외교에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뜻밖으로 양국 간 첨예한 현안인 `사드` 문제는 협상 테이블에 오르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사드 배치문제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해 다른 정부관계자, 상원하원 의원들 그리고 CSIS(국제전략문제연구소)분들 모든 분들이 절차적 정당성(환경영향평가) 거쳐야 한다는 점을 너무 당연하게 얘기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 문제는 공동성명에 담을 내용이 아니었다”고 애써 설명하기도 했다. 사실상 미국 측이 의도적으로 사드 문제에 관한한 속내를 드러내지 않았음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어쨌든, 한반도에서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양국 정상의 인식 공유는 동북아의 정치·군사적 질서를 유지하는 데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 대통령은 공동성명에서 북핵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로 합의했고, 북한에 대한 적대정책을 펼치지 않는다고 명시했다는 점을 성과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객관적인 입장에서 보면 이번 정상회담으로 북핵문제를 둘러싼 한·미 두 정부 사이의 이해관계나 견해 차이가 완전히 해소됐다고 보는 것은 무리다. 문 대통령의 대북 정책기조를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에 빗대어 `문샤인 폴리시`로 표현하며 사실상 `허튼소리(Moonshine)`라고 조롱하는 미 행정부 일각과 보수학계의 부정적 인식이 얼마나 개선됐는지를 계량하는 것은 아직 섣부르다.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한미 양국의 인식 차이가 해소될 것인지에 대한 확인부터 필요하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을 `뻥`이라고 생각하지만, 미국은 “임박한 위협이자 중대한 위협”이라고 보고 있다. 한·미간 `북핵해결`을 위한 공조의 성패 여부는 지금부터 무엇을 어떻게 실천하느냐에 달려있다. 북핵 문제의 가장 중요한 본질은 `근원적 해결`이다. 북핵의 완전한 폐기를 통한 한반도 정세 안정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문재인 대통령의 선택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