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가 `일자리 확대` 정책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취업자들의 높은 조기퇴사 경향이 개선책을 찾아야 할 숙제로 떠올랐다. 2030세대 직장인 10명 중 절반이 넘는 6명이 입사 후 1년 내 조기퇴사를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 통계의 경우 조기 퇴사율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일자리 확대` 못지않게 직무 미스매치를 개선하는 일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2030 직장인 579명을 상대로 조기퇴사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입사 후 1년 이내에 퇴사한 경험이 있느냐`는 물음에 응답자의 66.7%가 `그렇다`고 답했다. `직장 생활 중 퇴사 충동을 느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무려 97.8%가 그렇다고 답해 직업만족도가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음을 대변했다.

직장인들은 퇴사 이유로 `적성에 맞지 않는 직무(33.4%·복수응답)`, `낮은 연봉 수준(30.3%)`, `야근·초과근무가 많다(26.4%)` 등을 들었다. 그러나 실제 퇴사이유로는 `낮은 연봉 수준(36.8%)`, `상사·동료와의 갈등(33.9%)`이 가장 많이 꼽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를 살펴보면 높은 경쟁률을 뚫고 입사한 대졸 사회초년생의 조기퇴사율은 27.7%에 달한다. 2012년 대비 4.1% 증가한 수치로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OECD가 2013년 발표한 1년 미만 근로자 조사 결과에 나오는 독일(10.2%), 영국(9.4%), 캐나다(12.3%)는 물론 멕시코(21%), 슬로바키아(6.5%) 보다도 훨씬 높은 수치다.

특히 중소기업이 심각하다. 300인 이상 기업의 조기퇴사율은 2014년 11.3%에서 2016년 9.4%로 하락했지만, 300인 이하 기업의 경우 오히려 31.6%에서 32.5%로 증가했다. 신입사원 조기퇴사의 주된 원인은 `조직 및 직무적응 실패`(49.1%)가 가장 높다. 절반이나 되는 신입사원들이 직무 미스매치로 인해 회사를 떠나고 있는 것이다. 이 역시 300인 이상 기업의 경우 46.3%이지만 300인 미만 기업의 경우 50.0%에 달한다.

OECD는 미스매치를 극복할 방안으로 직업교육 및 훈련을 제안하고 있다. 현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일학습병행제와 같은 해결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신입사원 직무교육체계를 바로 세워 직무만족도를 대폭 상승시킨 성공사례 등을 연구하여 정책에 반영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조기퇴사율을 획기적으로 낮추지 않는 한 `일자리 정책`은 아무리 애를 써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다. 일자리 숫자를 늘리는 일에 정신 팔린 나머지 들어갔다가 곧바로 뛰쳐나오는 `일자리 누수현상`을 놓쳐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