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21일 대구 낙동강승전기념관에서는 순국 소년소녀병 위령제가 열려 눈길을 끌었다. 6·25 참전 소년소녀병전우회가 주관한 이날 행사는 전우회 용사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조촐하게 진행됐다. 주요 기관장들의 참석이 적어 아쉬운 점도 있었으나 행사의 의미는 컸다고 본다.

6·25 참전 소년병 위령제는 6·25전쟁 발발, 48년만인 1998년에 처음 열렸다고 한다. 정부의 무관심으로 소년병들의 희생 사실이 잘 알려지지 않았던 가운데 뒤늦게 전우회의 노력으로 위령제를 올리는 기회가 찾아온 것이다. 홍안의 소년으로 전장에 나가 산화한 순국 소년병들의 영혼을 달래는 데까지는 이처럼 많은 인고의 시간이 흘렀다.

그 후 소년병들의 순국 정신을 기리는 행사가 해마다 열렸으나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6·25 참전 소년병들은 병역의무 소집대상이 아닌 17세 미만의 미소년들이다. 기록에 의하면 당시 소집된 인원만 2만9천여 명이며, 소녀병도 400여 명에 달했다고 한다. 공식으로 확인된 전사자 수가 2천500여 명이다.

정부는 올해 현충일을 맞아 국가유공자에 대한 예우의 범위를 넓히는 문제를 언급한 바 있다. 구체적인 예우의 범위는 알 수 없으나 국가보훈처를 장관급으로 격상하는 등 보훈에 대한 국가적 예우의 격을 높이기로 한 것이다. 보훈 의미 확대에 대한 국가 유공자들의 관심도 적지 않다. 그동안 보상에 대한 섭섭함이 이번에는 제대로 평가 됐으면 하는 마음일 것이다.

6·25 참전 소년병들은 후손이 없는 영혼들이다. 일반 보훈대상자에 비해 그동안 국가의 보호가 제대로 되지 않은 소외 대상자이라 말할 수 있다. 제대로 된 역사적 평가도 부족했다. 그들의 영혼을 달래고 숭고한 희생정신을 선양할 마땅한 기념비도 없었다.

북핵문제와 관련해 한국에 사드가 배치되는 등 우리나라는 여전히 남북 관계가 긴장된 상황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사드배치를 둘러싼 국제적 시각의 차와 갈등도 노증 되기도 했다.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진 것도 이처럼 불안정한 국제정세 때문이라해도 틀리지 않다. 호국보훈의 달은 이런 정세 속에서 더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호국과 보훈의 뜻을 제대로 인식시키는 국가차원의 교육과 홍보가 더 절실할 때다. 소년소녀병전우회는 한 목소리로 정부의 지원을 촉구했다. 새정부가 들어선 것을 계기로 소년병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와 보훈을 희망하고 있다. “소년병에 대한 징집이 불법이었으며 보상이 타당하다”는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들어 정부의 대책을 호소하고 있다. 이들의 주장을 떠나 국가보훈에 대한 정부의 세심하고 제대로 된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올바른 호국보훈의 교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