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복지분야 정부지원이 대폭 강화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의 열악한 근무환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과중한 업무와 인사소외, 지위문제 등이 이슈로 떠오를 적마다 정부와 지자체는 한목소리로 사회복지공무원 업무개선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혀왔지만, 현실은 30년 째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원을 대폭 늘리고 근무환경을 크게 개선하는 것이 최우선적 과제다.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들을 지난 2013년을 가장 슬픈 한 해로 기억한다. 그 해 1월 경기도 용인시의 사회복지직 8급 공무원 한 해 동안 전국에서 사회복지직 공무원 4명이 자살했다. 당시 사회복지직 공무원 처우 문제가 이슈화됐으나 4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이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지난해 11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전국 631개 읍면동의 복지담당 공무원 등 1천3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에 따른 신규 공무원 충원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47.5%로 적절하다는 의견(22.6%)보다 훨씬 많았다. 또 이 정책을 돕는 민간 지원 인력도 부족한 수준이라는 의견이 47.8%로 적절하다는 의견(15.7%)의 3배에 달했다.

한국사회복지행정연구회 포항지회에 따르면 6월 현재 포항시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직 공무원은 184명으로 전체 공무원 2천30명의 9.1%에 불과하다. 이는 구미시(121명), 경산시(117명), 경주시(108명), 안동시(100명) 등 도내 타 도시들도 비슷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일선 주민센터에서 사회복지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은 1명이 적게는 수천 명에서 많게는 수만 명의 주민을 상대로 복지서비스 업무를 감당하는 말도 안 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복지담당 공무원들은 폭증하는 민원처리에 녹초가 되고 있다. 사회복지업무의 특성 상 장시간 업무투입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대폭적 증원 없이 발생하는 이른바 `깔때기`현상에 상시적으로 짓눌리고 있는 것이다. 복지가 분야별로 세분화되는 동시에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도 담당 공무원 숫자의 태부족과 열악한 근무환경을 방치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모순이다.

올해 정부예산 400조 원 중 복지관련 예산이 129조 원에 이르고, 최근에는 보건복지부에 8천649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 편성안이 마련됐다. 폭증하는 복지수요에 제대로 대응하기 위한 핵심정책은 예산을 늘리는 것 못지않게 복지행정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담당 공무원은 격무에 죽어나자빠질 지경이고, 국민들의 만족도는 올라가지 않는 복지는 `엉터리 복지`에 불과하다. 복지선진국으로 가는 길 그 첫 번째 조치는 적정 인원의 복지담당 공무원을 확보하고 근무환경을 혁명적으로 바꾸는 일임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