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인구가 30년 뒤에는 지금보다 32만 명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30년 동안 우리나라 총 인구 수는 5천100만 명 규모로 지금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나 유독 대구시의 인구가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감소세가 있을 것으로 예측돼 충격을 주고 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장래인구추계(2015~2045년)에 따르면 2015년 현재 대구의 인구는 247만 명이다. 그러나 2045년에는 215만 명으로 32만 명(-12.8%)이 급감할 것으로 예측됐다. 32만 명은 현재 대구거주 인구로 보면 중구, 서구, 남구, 달성군보다 많고 동구 관내만 한 인구 규모를 말한다.

이번 예측 조사에서 같은 기간 시도별로는 중부권과 수도권의 7개 지역은 인구가 증가, 영남권과 호남권의 10개 지역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가 감소할 지역 가운데서도 영남권은 101만 명(-7.7%)이 주는 반면 호남권은 8만 명(1.0%)정도 줄어 인구 감소세가 영남권에서 주로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 증감은 출생, 사망에 의한 자연증가와 사회 경제적 요인에 의한 인구 이동 등의 결과로 나타난다. 통계청 조사에서 지역별 인구증감 예측이 들쭉날쭉 한 것은 자연발생적 요인보다는 사회적 요인에 의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대구의 인구감소 규모가 영남권 감소 규모의 30%를 넘어 대구지역의 취약한 경제 사정이 원인으로 보인다.

대구는 1995년 이후 21년째 인구 순유출이 이어지고 있다. 순유출 인구의 연령 분포는 20대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대구의 인구감소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다. 따라서 대구시도 그동안 청년 인구의 유출 방지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백약이 무효였다.

권영진 대구시장 출범 후 대구시는 작년을 `청년대구 건설 원년의 해`로 정하고 청년을 붙잡기 위한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으나 얼마나 성과를 낼지는 미지수다.

통계청 조사에서 대구시는 향후 30년간 생산가능 인구(15세 이상~64세 미만) 감소율에서도 전국 최고수준이었다. 노령인구 증가로 도시의 활력도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어쨌거나 앞으로 30년간 대구의 인구가 32만 명이나 준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그 정도라면 도시가 활력 상실은 물론이거니와 도시계획상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안겨줄 것으로 짐작된다. 대구시의 장기 대책이 반드시 있어야 할 부분이다. 인구 감소에 대비한 축소적 도시경영에 대비하라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적극적 대응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구시 차원의 체계적인 인구관리와 결혼 출산 장려책, 일자리 창출 등에 대한 장기적 대응이 필요하다. 본격적인 지방화 시대에 대비하는 인구관리 정책에 더 많은 고민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