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정부의 일자리 창출에 동참하기 위해 올해부터 도 산하 출연·출자기관에 전국에서 처음으로 `주4일 근무제`를 도입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민간 기업에서조차 시도해 보지 않은 `주4일 근무제`를 공공기관에서 올해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하니 전국적 관심이 대단하다. 만약 이 제도가 성공한다면 그 파장은 대단할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성공여부를 떠나 선진국 일부에서 시행되는 이 제도가 우리 현실에 얼마만한 적합성을 가질지를 두고 전국에서 바라보는 시선도 만만찮아 시행의 의미는 크다고 본다.

경북도가 산하기관에 도입기로 한 `주4일 근무제`는 도 산하 28개 출연·출자기관에서 올해 채용하는 정규직 99명 전원을 주4일제로 채용한다는 것을 말한다. 도는 비정규직 50명도 주4일제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함께 발표했다. 주4일제 근무자에게는 복지혜택 등 전반적 예우는 정규직과 동일하게 적용하나 보수는 20% 정도 줄인다. 현재 대졸 신입사원의 초봉은 경북개발공사가 연 2천800만원, 경북테크노파크가 2천500만원 수준이다. 주4일제로 채용된 직원일 경우 경북개발공사에 입사한다면 2천240만원 정도 받게 된다. 경북도는 이렇게 해서 발생한 잉여 예산을 재투입해 일자리 나누기 사업으로 성과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경북개발공사는 이렇게 하면 채용 인원을 현재보다 25%정도 더 늘릴 수 있다고 본다. 경북도의 현실성 있는 용단이라 본다. 실제로 이 제도는 스웨덴이나 노르웨이 등 북유럽국가에선 이미 성공한 근무형태로 자리를 잡고 있다. 우리도 개인의 사생활이 존중되는 선진국형 일자리로 방향을 바꾼다고 보면 이 제도의 정착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일본은 전체 기업의 8% 정도가 이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학계에선 또 다른 우려를 내놓기도 한다. 주4일제 근무가 제2의 비정규직 문제를 만들 수 있다는 우려다. 주4일제 짜리와 주5일제 짜리라는 또 다른 차별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견해다. 동일노동, 동일근무, 동일혜택이라는 관점에서 불평등이 예상된다는 뜻이다.

그렇지만 이 제도 도입의 의미는 매우 크다고 본다. 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패러다임을 제시한 공로가 높다고 보는 것이다. 지금의 일자리 창출은 경기에 의존해야 하는 기업의 생산성 향상보다 새로운 패러다임 개척에 무게를 두는 것이 더 중요할 지 모른다. 일단 노사가 서로 양보해 일자리 창출에 힘을 보태는 합일된 모습이 필요하다. 모든 제도가 그러듯이 일장일단이 있다. 좋은 점은 살리고 부족한 부분은 고쳐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하려면 제도 속에 있는 구성원들의 합심된 노력이 필요하다. 시험대에 오른 `주4일 정규직`의 성공 정착에 기대를 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