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밋빛 전망을 쏟아내는 호남과는 판이하게, 지역의 국비예산 확보에 비상등이 켜졌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하는 등 팔을 걷어붙이고 총력전에 나섰지만 상황이 녹록지 않다는 소식이다.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의 정책 방향이 판이하게 달라, 정부의 국비 배분 원칙도 변화할 것이 자명하다. 지역정치권이 주요 현안사업과 대선 공약과제들을 중심으로 똘똘 뭉쳐서 함께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대구시는 최근들어 권영진 시장이 지역 현안의 정부 정책 반영을 위해 직접 나섰다. 세종과 서울 등에 일찌감치 예산 베이스캠프를 운영하는 등 내년도 국비 확보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대구시는 대구통합공항 이전사업 지원 및 연결교통망 구축, 미래형 전기·자율차 선도도시 육성 7개 지역 공약사업, 대구 경북권 광역철도망 건설 지원, 경북도청 이전터 개발 등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에 집중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경북도 역시 내년도 국비 예산 11조9천억원 확보를 목표로 지역 정치권과 긴밀히 교류하며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경북도는 지난 10일 김장주 행정부지사가 주재하는 긴급 간부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도는 지역의 주요 현안사업과 대선 공약과제들이 새 정부 국정과제로 채택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고, 이에 모든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이 같은 대구시와 경북도의 노력이 실제 예산 확보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다. 대구통합공항 이전만 하더라도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고, 대구순환고속도로(성서~지천~안심) 건설 등도 정부의 SOC 예산 삭감 등으로 좌초될 가능성이 있다. 새 정부의 정책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은 더 큰 문제다.

경북도와 상주시는 2018년에서 2027년까지 낙동강 수변생태축 보전·복원 사업을 추진키로 하고 145억원의 예산 중 70%를 국비로 신청키로 했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의 4대강 정책감사 지시와 달성보 등의 상시 개방으로 사업 추진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포항시가 계속 추진키로 했던 창조경제혁신센터도 마찬가지다. 새 정부가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지역별 통합 등 대수술을 예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역 홀대론 등의 감정적 대응보다는 새 정부의 정책에 발맞춘 지역 사업의 개발이 필수적이라는 지역정가 일각의 주장은 일리가 있다. 그 동안 대구·경북이 예산 확보 노력에서 `간절함이 없었다`는 중앙부처 관계자들의 비판을 아프게 새겨들어야 한다. 새 정부를 설득할 논리와 전략으로 재무장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무지개 군단으로 변화된 지역정치권이 뭉쳐서 함께 예산투쟁에 적극 나서야 한다. 지역 현안사업 추진에 정파적 이해관계가 개입될 이유란 결코 존재하지 않는다. 달라진 세상에 맞춰가기 위한 새로운 각오와 대응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