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투자 방식과 공영개발 방식을 두고 논란을 벌여 왔던 대구대공원개발 사업이 공영개발 방식으로 결정이 났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2020년 `도시공원 일몰제`를 앞둔 대구대공원 개발은 대구시 출자기관인 대구도시공사가 주체가 되는 공영개발 방식으로 개발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대구시장의 이 같은 결정으로 논란에 휘말렸던 대구대공원 사업은 이제 본격적인 개발 준비에 들어가게 됐다. 또 도시공원 일몰제 시행을 앞두고 대구시내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들의 개발 사업도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시가 대구대공원 사업을 공영개발로 결정하게 된 배경에는 대공원 일대의 자연 훼손을 최소화하자는 의도가 깔려있다. 대구 스타디움, 대구삼성라이온즈 파크, 대구미술관을 낀 대공원 터가 대구로 봐선 얼마 남지 않은 노른자위 땅이란 점을 감안한 것이다. 최소한의 난개발을 막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또 개발이익을 시민들에게 돌려 보겠다는 의도로도 충분히 이해할 만하다. 대구대공원은 지난해 11월, 2건의 민간투자 제안서가 접수됐으나 모두 과도한 자연훼손이 우려되는 내용이 포함됐다는 것이 대구시의 판단이다.

대구시가 자연훼손을 최소화 하고 공원개발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이렇게만 된다면 그야말로 꿩 먹고 알 먹는 일이 된다.

그렇지만 대구대공원 사업의 규모(187만9천㎡)가 너무 크고 방대해 공영개발로 과연 사업비가 충당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대구시는 수익사업으로 벌이는 공동주택(3천200세대)에서 전체 사업비를 감당할 것이며 여의치 않을 경우 시 재정도 투입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이번 사업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1조원 이상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로 사업비의 변동이 예상되는 사업이다. 특히 이 사업으로 생겨나는 주변의 경제적 파장을 고려한다면 재정적 고려에 보다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사업 집행과정에서 수정과 변경 등을 통한 사업비 확보는 공영사업에 대한 신뢰를 잃게 한다. 또 이 사업에 대한 연속성이란 측면에서 신중한 집행 계획서가 마련되는 것이 좋다.

대구대공원 일대는 이번 개발 사업으로 관광과 문화, 스포츠 등이 어우러지는 새로운 부심권으로 변모하게 된다. 기존의 수성의료지구 개발과 법조타운 연계 등으로 대구의 핵심 신도시로 건설될 가능성도 있다. 또 이곳의 개발로 대구시 숙원 사업인 도시철도 3호선 범물-고산-안심까지의 연장 사업이 탄력을 얻을 가능성도 많다. 대구시는 대구대공원 사업의 공영개발을 계기로 대구가 새롭게 도약하는 그림을 그려야 한다. 24년만에 해법을 찾은 달성공원 동물원 이전과 달성 토성 복원 사업 등도 부차적 경제효과다. 시민의 부담이 안 되는 재원 마련에 고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