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대구·경북 최대 핵심 현안인 대구통합신공항 이전사업에 대한 향후 추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새 정부가 발표한 수많은 지역공약 가운데 우리 지역 현안인 통합대구신공항 문제가 새 정부의 의지를 얼마나 담아낼지에 대한 지역민의 궁금증도 높아지고 있다.

대구시는 문 대통령이 대선과정에서 대구를 방문할 때마다 대구통합신공항 이전을 약속했던 만큼 이 사업의 순조로운 진행을 예상하고 있다. 또 통합공항 이전과 더불어 통합공항과 연결하는 교통망 구축 등 접근성을 높이는 문제에 대해서도 중앙정부가 적극 지원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말해 대구통합신공항은 지난 2월 말 경북 군위군과 의성군 등 2곳을 이전 후보지로 선정한 이후 대선을 핑계로 한 발짝도 나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대구시는 예비 후보지에 대한 심사를 벌일 대구통합신공항 이전부지 선정위원회조차 구성을 못하고 있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 한다지만 장차관급 임명 등으로 시간을 끌게되면 부지 선정위원회 구성은 더 늦어질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통합 신공항 이전 사업이 해를 넘길 수도 있다는 우려다.

이런 상황 속에 김해 신공항 사업은 예타가 통과되고 정부 재정지원 사업으로 확정되면서 탄력을 받고 있어 대조적이다. 2026년 개항을 목표로 한 김해신공항 사업은 지난달 기본용역 수립을 위한 입찰공고를 내기도 했다. 대구통합신공항 사업은 상대적으로 불리한 국면에 빠질 수밖에 없다. 정부의 관심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사업추진의 동력이 제대로 살아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이 사업이 박근혜 정부가 시작한 사업으로 현 정부의 지원 의지가 얼마나 있을지도 궁금증이 가는 부분이다. 지역현안이 정권이 바뀐다고 달라져서는 안 되겠지만 실질적으로 힘을 실어주는 강도에 따라 성과가 다를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지역민들이 이 사업이 제대로 추진될지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는 이유도 이런데 있다. 대구시 등은 더 이상 머뭇거리지 말고 대구통합신공항 이전 사업에 대한 속도를 내야 한다. 정부 측에 적극적인 대시를 해야 한다. 그래서 지역민이 불안해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궁금증을 풀어 주는 것이 옳다. 정권이 바뀌었으므로 이전보다는 보다 치밀한 전략적 준비가 필요하다. 새 정부에 대한 설득을 전제로 한 전략 구상이 있어야 한다. 영남권에 두 개의 국제공항 건설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불식할 대구·경북 관문공항으로서 논리를 앞세워야 한다. 대구국제공항은 현재 전례없는 활성화 분위기다. 올해 중 300만명이 넘는 이용객이 다녀갈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 관문 공항의 필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대구시가 앞장서 통합공항이전 사업의 속도를 내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