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이 지진 조기경보 시간을 앞당기기 위해 지진 관측망 확충에 나선다고 한다. 기상청은 전국에 설치된 지진 관측소를 현재 206곳에서 314곳으로 대폭 확충한다. 이에 따라 대구·경북지역 22곳의 지진 관측소도 37곳으로 15군데가 늘어나게 된다. 기상청의 지진 관측망 확충은 지난해 9·12 경주지진 이후 한반도에서도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 관측소의 추가 설치로 진앙위치 오차를 개선하고, 지진 경보 발표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2019년까지 규모 5.0이상 지진이 발생할 경우 7초안에 지진파를 탐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했다. 지진발생 조기 경보시스템 구축은 인명 구조와 직결된 우리사회의 주요한 안전망이다.

경북 동해안지역은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님이 이미 밝혀졌다. 지난 주말에도 경북 포항, 경주 등에서 모두 세 차례의 지진이 발생했다. 포항지역에서 규모 3.0이상 지진이 발생한 것은 99년 4월 24일 연일읍 유강리에서 규모 3.2지진이 발생한 이래 처음 있는 일이다. 10년 이상 잠잠하던 지진이 포항지역에서까지 빈발해지고 있는데 대한 불안감이 시민들 사이에 번지고 있는 것이다.

경주지역은 9·12지진 이후 발생한 여진이 지난 주말 여진을 포함 모두 606회 일어났다. 시민들의 불안감이야 두말할 나위가 없다.

동해안지역은 우리나라 원전의 절반이 위치한 곳이다. 주말 지진과 관련 한국수력원자력측은 “가동 중인 원전은 모두 정상이며 방사성 누출도 없었다”고 발표했으나 지진 발생으로 인한 불안감을 지우기에는 역부족이다.

경북도는 이달 초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을 위한 타당성 연구 용역에 들어갔다. 연구기관 설립의 필요성과 역할, 설립 장소, 기대 효과 등을 분석한다고 한다. 경북도는 경북 동해안에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을 이미 정부 측에 건의한 바 있다. 9·12 지진 이후 지진방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님이 확인돼 국가 차원의 대응책이 필요해서다. 특히 지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조사를 수행하고 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연구소의 필요성은 당연한 일이다.

경북 동해안은 지진 발생 빈도가 가장 높고, 원전이 집중돼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국립지진방재연구원의 입지로 충분하다. 지진관련 연구원의 설립은 지진 발생으로 불안한 이 지역 주민들의 심리적 안정감에도 좋은 영향을 준다. 지진 발생이 빈번한 일본만큼은 아니더라도 국립 지진방재연구원의 설립은 이제 필수라 할만하다. 정부가 우리도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판단했다면 지진 재앙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경북 동해안은 그런 점에서 적합도 1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