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넘게 논란이 일고 있는 낙동강 최상류 중금속 오염에 영풍석포제련소 영향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사실은 환경부가 발표한 석포제련소 주변지역 토양실태조사에서 밝혀졌다. 또한 지속적으로 중금속에 노출된 인근 주민들에 대한 모니터링과 신장기능 이상 소견자를 대상으로 카드뮴농도 및 관련 건강지표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오염원 차단을 위한 근본대책이 시급하다는 여론이다.

환경부는 최근 봉화군 석포면사무소에서 국립환경과학원·동국대 의과대학·한국환경공단 등과 함께 `석포제련소 주변지역 토양실태조사 및 주민건강 영향조사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제련소 주변지역 448개 지점의 토양 실태조사 결과 카드뮴은 59개 지점이 기준치(4㎎/㎏)를 초과(13.1%)한 것을 비롯해 납 9개 지점(2%), 아연 129개 지점(28.7%), 구리 2개 지점(0.4%), 비소 271개 지점(60.4%)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환경공단이 국내 최초로 실시한 안정동위원소 분석법을 도입해 토양오염 기여도(영향)를 역학조사 방식으로 평가한 결과 석포제련소 반경 3㎞ 이내 토양에서 아연, 비소 등 기준치를 초과한 원인에서 석포제련소의 인위적 영향이 절반을 넘은 52%를 차지한 것으로 평가됐다. 나머지는 지질 등 자연기원으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임현술 동국대학교 의과대학교수가 발표한 주민건강 영향조사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내용이 나왔다. 임 교수는 봉화군 석포면과 30㎞ 떨어진 봉화군 물야면을 대조지역으로 주민들의 중금속 관련 건강상태를 검사했다. 그 결과 제련소 주변지역 주민들의 혈액과 소변 중의 카드뮴, 혈액 중 납의 농도가 대조지역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앞서 `세계 물의 날`인 지난달 22일에는 안동시의회 등 낙동강 유역 7개 기초의회 의원 11명이 안동시청에서 공동성명을 내고 “47년 동안 1천300만 식수원인 낙동강을 중금속과 맹독성 물질로 오염시킨 영풍석포제련소를 폐쇄하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낙동강 유역 43개 기초단체 및 기초의회로 공동협의체를 구성하고 영풍그룹 제품 불매운동과 낙동강 식수원 지키기 100만인 서명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안동호 80㎞ 상류에 위치한 영풍석포제련소가 낙동강 중금속 오염 논란의 중심이 된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낙동강은 국토의 젖줄이자 영남지역민들의 영원한 생명수다. 맑은 강물을 지켜내는 사명은 그 어떤 이유로도 유보돼서는 안 된다. 석포제련소 주변지역에 기준을 초과하는 고농도 토양이 존재하고, 그 원인에 대해 제련소가 일정 부분에 기여했다는 점이 밝혀진 이상 신속한 후속조치와 근본대책이 불가피하다. 자연환경은 후손들로부터 빌려 쓰고 있는 자산이라는 점을 한시도 망각하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