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대선이 가시화되면서 대구광역시와 경북도가 대선공약 발굴 및 마무리 작업에 총력을 쏟고 있다고 한다. 지역 현안들의 대선공약 채택은 지역발전을 촉진시키는 전략적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지역현안의 대선공약 관철을 위해 뛰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대구광역시와 경북도는 다음 주 중으로 대선공약 건의안을 최종 확정 짓고 공약 반영을 위한 대응전략에 나설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번 대선에서 대구·경북이 처한 정치적 환경을 생각하면 지역현안의 대선공약 채택은 만만치가 않음을 짐작할 수 있다. 정권 창출의 중심지였던 이곳에 지난번 대선과 달리 유력한 대선후보조차 제대로 없는 지금 상황은 정치적 열세 지역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이 분당되면서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사실상 여당으로 인식되고 있는 분위기다.

특히 지역 현안의 상당수가 박근혜 정부의 추진사업으로 시작된 것이 많다는 것도 고민거리다. 대통령 탄핵 판결의 후유증을 안을 수 있다.

사업의 타당성 여부가 중요하겠지만 경우에 따라 정치적 논란에 휘말리면 지역 현안 사업의 차질도 불가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구·경북지역 미래 먹거리를 위한 대구통합 신공항 건설사업이 대표적인 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시로 시작된 이 사업은 이전부지 선정을 앞두고 주춤하고 있다. 부지 선정위원회 구성이 대선 이후로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김해공항의 경쟁력 약화를 이유로 부산이 딴지를 걸고 있는 것도 마음에 걸린다. 성주지역 사드 배치도 민감한 현안이다. 경북도가 대선공약과는 별개로 관리하겠다고는 하나 더민주당의 반대가 있는 만큼 정치적 해결이 쉽지 않은 현안이다.

대구시는 대선공약으로 대구·경북 관문공항 건설과 연결 도로망 건설, 미래형 자동차 선도도시 조성, 영·호남 연결철도 건설, 서대구 고속철도 역 및 철도망 건설, 글로벌 인공지능 융합연구원 등 미래첨단산업분야 등 10~12개 정도를 꼽고 있다. 경북은 30개 핵심사업과 7대 프로젝트 공약안을 기획하고 있다. 국가 4차산업, 미래바이오 생명산업, 한반도 허리경제권 관련 SOC 사업, 원자력해체 연구센터, 지진방재연구원 등을 공약으로 준비하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마련한 대선 공약안이 지역의 대표 숙원사업으로 만들어졌지만 대선공약으로의 채택 여부는 별개다. 전국단위 현안과 경쟁을 벌여야 하는 과정들이 있기 때문이다.

자치단체만의 힘으로 대선 공약에 반영시키는 일은 쉬운 과정이 아니다. 대구시와 경북도의 공조체제 구축도 물론 필요하다. 지역 정치권의 협조는 당연하면서도 매우 중요하다. 여야를 떠나 지역의 현안 타개를 위한 지역 정치권과 행정기관의 대동단결이 있어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