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현들이 `우주 제일의 책`이라 칭송하는 논어는 공자의 언행(기원전 552-479)을 기록한 책이다.

에는 논의와 語에는 말에 대한 답이라는 뜻이 있다. 정확히 편집한 제자들은 문하생인 증자나 유자라는 학통의 계승자라는 설이 있다. 전편적인 내용은 인생의 모든 면과 가르침은 타당하고 간결하면서 설득력이 넘치는 직관적 사고의 서술이다.

논어의 사상은 仁이며 “인을 행하는 사람은 사랑하고 아끼는 것을 인이라 하고, 정치하는 이는 국가를 이롭게하는 것을 인이라 한다”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사상적 측면에서는 천명론으로서 하늘을 신봉했고 학습과 사유에서는 배우고 가르치는 일을 강조하였다. 또한 인격의 완성자로서의 군자는 인, 의, 예, 지, 용을 강조하였고 효제와 충서도 인의 중요한 실천 덕목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정명(正名)과 덕치주의를 통한 민생의 안정을 추구하는 논리를 편다. 이러한 장대하고 방대한 사유와 사상들은 끝장(요왈편)에 이르러 리더, 지도자, 선생, 어른에게 “천명을 알지 못하면 군자가 될 수 없고 예를 모르면 사회에 설 수 없으며 상대방의 말을 알아차리지 못하면 사람을 알지 못한다”라고 장대히 막을 내린다.

천명과 예와 말, 어느 것 하나 중요치 않는 것이 없겠지만 공자는 천명은 命이 있음을 안다고 믿는 것이다라고 정자(程子)는 풀이하였고 “예를 알지 못하면 귀와 눈으로 볼 것이 없고 말의 잘못에서 사람의 사악함과 올바름을 알 수 있다” 하였다.

우리 모두가 공자의 탁월한 가르침을 이 시대의 내용을 갖춘 통찰의 지혜를 갖추고 언어로 행동으로 사유로 살아갈 수 없다면 논어라는 그 위대한 우주 최고의 고전도 쓸모없는 가르침이 될 것이다.

“알고 난 뒤 반드시 실천하라”는 가르침은 `논어, 문자여행`을 통해 나의 무지를 재인식하고 나의 서예공부도 거듭 깊이 새로워질 것을 새길 수 있는 귀한 시간들이었다. 이 시대의 리더, 어른, 스승, 선생 등 모두가 마음의 언어로 읽고 실천한다면 맑고 환해질 것이다.

공자께 다시 한번 크게 웃을 수 있는 기회가 반드시 올 것이라 믿는다. 억지로 나의 부족한 모든 것을 채워주면서 같이 한 모두에게 고개 숙인다. 나에게 붓글씨로 작품을 쓰는 일도 힘들지만 원고를 쓰는 일은 나의 무지 덕분에 참혹할 정도로 아픈 일이었지만, 그래도 해야 할 일이 있다는 것이 행복했다.

모두가 마음 넓은 분들의 덕분이라고 생각하니 50회에 가까운 `논어, 문자여행`을 마감하면서 공부 부족의 부끄러움을 줄이기 위해 다시 깊게 논어를 읽어야 겠다고 다짐하는 귀한 가르침을 주었다. 그리고 독자 여러분 모두가 고맙고 강령하길 바랄뿐이다.

솔뫼 정현식<서예가·솔뫼서예연구소장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