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폐쇄적 성격 한몫
시민운동 갈수록 활력 잃어
경제 불황에 후원마저 감소
정치권·언론 시각도 변해야

“대구와 경북지역이 지닌 보수성이 시민운동의 활성화를 막고 있는 요인 중의 하나라고 봅니다.”

오는 30일 경주에서 막을 올리는`제66차 UN NGO 콘퍼런스`는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개최된다.

<관련기사 2면> 하지만, 정작 NGO 관련 대규모 행사가 열리는 경북과 대구지역의 시민운동은 침체일로를 걷고 있어, 활력을 되살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시민단체 활동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박경태 교수(NGO·소수자인권 전공)는 “한국의 시민운동이 서울에 집중돼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유명 NGO나 시민활동가들은 대다수가 중앙에 있다. 서울과 타 지역에 비해 대구경북의 시민운동 역량이 다소 부족한 것은 그 지역 활동가의 능력이나 의지 문제는 아니다. 대구경북의 특색이라 할 수 있는 보수적 분위기와 연결된 문제인 듯하다”는 이야기를 들려줬다.

사실 시민운동은 `활동 공간의 확보`가 그 출발점이다. 몇몇의 시민운동 관계자들은 보수성과 함께 대구경북의 폐쇄성 역시 시민운동의 성장을 막고 있다고 진단한다. 또한, 갈수록 어려워지는 경제상황이 시민단체 후원가들의 주머니를 닫게 만든 것도 시민운동의 위기를 초래한 한 요인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것을 극복할 방안은 없는 걸까. 박 교수는 시민운동에 관한 일반인의 인식전환과 함께 정치권(정당)이 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당이 자신의 역할을 하지 못해 성장한 것이 1980~90년대의 시민운동이다. 이제는 정치권도 시민사회의 요구를 현실에서 실현시킬 방법을 고민할 시점이 됐다. NGO와 정당의 역할을 구분해야 할 시기가 온 것이다.”

이와 함께 전문가들은 언론의 관심과 적극적인 보도도 시민운동의 성장과 활력 되찾기에 적지 않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는 시민운동가 출신의 김기식 씨, 송호창 씨 등이 국회에 들어가 시민운동 활성화를 위해 적지 않은 역할을 했지만, 그것이 언론에는 제대로 알려지지 못했다는 지적인 것으로 보인다. “언론이 시민운동의 긍정적 역할을 격려하고, 잘못 가는 방향에 관해서는 비판도 해야 한다”는 게 시민운동가들의 공통된 목소리다.

검증되지 않았거나 시민운동을 빙자해 사익을 취하는 인사들이 전체 시민사회계의 침체를 부추겼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포항의 경우 수년 전 명망이 높았던 시민단체 간부가 부정에 개입했다가 검찰에 구속돼 파문이 일기도 했다. 또 한 인사는 부적절한 언행과 임차 국유재산 무단 용도변경 등 끊임 없이 물의를 일으켜 포항지역 시민단체의 위상을 크게 떨어뜨렸다.

이에 대해 최광열 포항KYC(한국청년연합) 전 대표는 “한국사회의 전반적인 활력 저하에다 시민운동에 그리 호의적이지 않은 지역 특성이 대구경북의 시민단체를 더 위기로 몰고 있다”면서 “하지만 지역불균형 등 시민사회 차원에서 대응해야 할 현안이 산적한 현실에서 활동가들의 자성과 함께 시민들도 더 많은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홍성식기자

    홍성식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