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 하반기 정부부처 중 처음으로 통계청을 구조조정한다. 행정자치부는 지난 3월 각 부처 일선 집행기관의 비효율적인 서비스 전달 체계를 개선하겠다는 내용의 `정부조직관리지침`을 발표했다. 기능이 유사하거나 중복 혹은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구조와 인력을 최적화하겠다는 것으로, 집행체계를 간소화 하겠다는 게 주 골자였다. 이를 위해 지방청과 사무소 등 일선 기관은 기능을 분석하고 진단하겠다고 했다.

통계청은 이 지침을 통해 당시 조직개편 대상에 포함됐고, 이 개편안이 오는 8월 중 개최되는 국무회의에서 통과될 경우 조직 효율화라는 명목으로 각 지역별 일부 사무소가 폐지·흡수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 49개 사무소에서 15개 사무소를 감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감축되는 사무소는 분소로 격하돼 인근 지방청 혹은 사무소로 통합될 전망이다. 대구·경북지역에는 현재 포항, 안동, 구미, 상주, 경산, 청송사무소가 있는데, 물론 이중 일부 사무소도 통합 물망에 올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조조정 대상에 들어가는 행정부처들을 보면 대체로 `힘 없는 기관`이 첫순위인 경우가 많다. 통계청이 제일 먼저 대상에 올랐는데, 2009년에도 구조조정을 당했고, 이번에도 “역시 힘 없는 기관이다”란 동정의 소리를 듣게 됐다. 통계청은 당시 광역화, 슬림화 추세를 반영한다며 지방통계청과 4개 사무소, 65개 출장소로 구성된 지방조직을 5개 지방통계청과 49개 사무소로 통폐합한 바 있다.

`통계청 딜레마`라는 말이 있다. 국민과 가장 가까이 있으면서 가장 멀게 느껴지는 부서란 말이다. 소비자 물가동향, 고용동향, 산업활동 등 58종의 국가통계 중 대부분은 지방통계청에서 근무하는 통계조사관들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삼고, 통계조사관들은 주민들을 일일히 찾아다니며 면접조사를 한다. 통계조사관은 고도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가진 전문직이다. 응답자를 설득하는 능력, 전산기기 조작능력, 숙련된 조사 기법 등 전문성이 필요하다. 조사통계의 80% 이상이 현장 방문 면접 청취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된다. 그러니 통계조사관의 능력과 성실성이 `정확한 통계`의 관건이고, 통계가 정확해야 국가정책의 방향도 바르게 잡혀진다. 이와 같은 특수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획일화된 관점으로 타 행정기관과 비슷하게 규모, 부피만 줄이게 되면 결국 통계 품질을 떨어트리는 결과를 불러올 수도 있다고 직원들은 우려하고 있다.

통계청 직원들은 그야 말로 `음지에서 일하는` 공무원들이다. `권력`은 없고 `의무`만 있는 별로 인기 없는 공직자들이다. 그래서 그런지 정부구조조정 하면 늘 통계청을 동네북으로 삼는다. 힘이 없어서 맥 없이 휘둘리는 정부부처를 국민들이 힘을 실어주어야 한다. 통계청을 관심 있게 바라보고 협력하는 것이 그 첫걸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