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왜 일본군 위안부를…` 한국·일본 학자 등 지음 휴머니스트 펴냄, 344쪽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한국과 일본을 넘어 국제 사회의 화두가 된 지 23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1991년 지금은 고인이 된 당시 67세의 김학순 할머니가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였음을 처음으로 증언하며 역사의 저편에 묻혀 있던 아픔의 기억을 현재의 역사로 불러들였다. 그로부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싸고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운동이 시작됐다. 1993년 8월 당시 고노 요헤이 일본 관방장관은 일본군 `위안부`의 모집, 이송, 관리에 일본 정부가 관여했음을 명백히 밝힌 담화(고노 담화)를 발표하며 일본군 `위안부` 논의는 한 걸음 진전을 보인 듯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국제 사회의 동향과는 반대로 `위안부` 강제연행을 부정하는 우익세력의 움직임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일본 총리를 포함한 정치가들의 “위안부 연행의 강제성을 보여주는 증거는 없다” “위안부는 공창이다” 같은 망언을 비롯해 일본내 우익세력들의 우익적인 사회 현상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통한 한일관계 개선의 돌파구를 찾기 위한 책이 출간돼 주목을 받고 있다.

일본 시민단체 `전쟁과 여성 대상 폭력에 반대하는 연구행동센터`가 펴낸 `그들은 왜 일본군 위안부를 공격하는가`(김경원 등 옮김, 휴머니스트, 344쪽. 2만원). 한국과 일본의 학자와 시민운동가 16명이 집필에 참여했다.

이 책은 한국인도 잘 알지 못하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쟁점들을 정리하고 현주소를 날카롭게 분석·비판함으로써 진정한 사죄와 배상, 정의의 실현이란 무엇인지 통찰케 한다.

최근 한일 관계를 뜨겁게 달구고있는 `고노 담화`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연행과 피해 사실 자체를 부정하는 공격에 반론을 펼칠 뿐 아니라, `위안부`가 공창이라는 공격에 대해 일본의 공창제도와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비교·분석하며 그 관계를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제1부 `고노 담화와 일본군 `위안부` 제도의 본질`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핵심 쟁점인 연행의 강제성과 공창제도의 관련성을 분석해 공창제도와는 관계없이 모든 `위안부`의 연행이 납치와 유괴 같은 불법적인 방식으로 일어났음을 밝히고 있다.

제2부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과 국민기금`에서는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기금`(이하 국민기금)의 의미는 물론 그에 근거한 `화해론`을 비판적인 시선으로 돌아본다.

제3부 `문제 해결을 위해 지금 무엇이 필요한가`는 일본의 젊은 세대에 대한 분석과 세계적 흐름이 되고 있는 식민지 책임에 관한 글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넘어서는 새로운 역사인식의 지평을 열어준다.

특히 이 책에서 주목할 부분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 혼란을 가져온 국민기금의 실체를 밝히며, 국민기금에 기반하고 있는 `화해론`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일본 `넷 우익`의 출현 원인도 짚었다. 개인의 관심사를 자유롭게 드러낼 통로가 없고, 타인의 생각과 행동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 일본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역사에 무관심해진 젊은이들이 쉽게 우익화한다고 진단했다.

특히 남녀에 대한 고정된 성 역할을 요구하는 사회에서는 일상적 성폭력조차 자각하기 어려워 젊은이들이 군 위안부 문제를 인간 존엄성 문제로 받아들이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런 젊은이들이 자국의 침략전쟁에 대한 일탈적 역사관을 온라인 공간에서 분출하면서 해방감을 느낀다고 분석했다.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