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청회 개최… “평가기준은 학교 교육과정 기반으로 해야”

교육부가 수능시험 영어영역에서 절대평가 도입방안을 위한 움직임에 돌입하면서 수능체제 전반에 대한 개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교육부는 20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절대평가 방안 모색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강태중 중앙대 교수는 `수능 영어영역 절대평가 방안 모색` 정책연구안을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강 교수는 우선 수능 영어영역의 절대평가 기준은 학교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현실적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강 교수는 생각해볼 수 있는 등급 안으로 4~5개 등급 안과 9개 등급 안을 제시했다.

4~5개 등급 안의 바탕에 놓인 논리는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등급별 성취수준을 평가한다는 절대평가 취지를 살리려면 등급 수는 많아야 5개 정도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이다.

9개 등급 안은 현재 수능의 다른 영역의 등급 수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의견이 반영됐다.

이와 함께 강 교수는 장기적으로 수능체제 개편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학교 교육의 목표는 1등 하는 학생을 만드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학생이 교과 숙달에 이르게 하는 데 있다”며 “이 점에서 `절대평가`는 영어영역을 넘어 다른 영역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박찬호 계명대 교수는 `수능 영어영역 절대평가 점수체제 탐색`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분할 점수와 등급 수 문제를 검토했다.

분할 점수는 응시자가 받은 등급을 구분하기 위한 점수로, 박 교수는 우선 고정 분할 점수 방식을 살폈다.

고정 분할 점수 방식은 100점 만점에 90, 80, 70, 60점을 분할 점수로 미리 정해 그 점수에 따라 등급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박 교수는 미리 결정된 분할점수가 성취기준에 따른 등급을 구분할 기준이 되는지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험의 결과를 참조해 2~3점의 범위에서 분할 점수를 조정하는 혼합 방식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교육부는 오는 24일 전남대, 29일 부산시교육청에서 후속 공청회으로 연 뒤 연내 수능 영어 절대평가 방안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박동혁기자 phil@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