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쇠제비갈매기 보호 외국사례
日·濠·英 등 수십년 전부터 `멸종위기종` 지정
국내선 아직까지 `관심종`… 현실과 동떨어져

▲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해안에 서식 중인 쇠제비갈매기 어미와 새끼들의 모습이 정겹다. /경북대 조류연구소 제공

인위적 교란에 의한 생태계 변화 가운데 해변 서식지를 가진 야생동물들은 멸종위기에 처해질 만큼 심각하다. 특히 모래해변에 둥지를 틀고 사는 쇠제비갈매기는 가장 취약하다. 지난달 26일 낙동강 하구의 쇠제비갈매기 급감 원인에 대한 공청회가 부산에서 열렸다. 이날 부산광역시, 낙동강유역환경청, 국립환경과학원 공무원 7명과 학계 3명, 환경단체 2곳이 참석한 가운데 쇠제비갈매기 단일종으로 한 공청회 개최는 국내 처음이다.

이들은 바닷물 월류로 인한 모래섬의 파괴나 천적 등 새들이 떠난 다양한 의견을 비롯해 안동호 무인도에 집단 서식하는 원인 등 경북 내륙지역 서식지 증가 이유를 제시하기도 했다.

부산발전연구원 김태좌 조류전문위원은 “이번 공청회로 천적이나 서식지의 무분별한 청소 등 좁은 의미에서부터 바닷물의 월류, 초목의 증가 등 광의의 원인까지 다양한 급감 이유를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환경부가 지정한 쇠제비갈매기는 아직까지 `관심종`으로 지정될 정도로 국내 현실은 걸음마 수준이다. 반면 일본, 호주, 영국 등 선진국의 경우 수십 년 전부터 `멸종위기종(red list)`으로 지정해 적극 보호에 나서고 있다.

◇눈길 끄는 일본의 해변 개발지역 서식지 관리

일본 간토 지방 남쪽 미우라 반도에 둘러싸인 도쿄만(灣)에 과도한 개발을 시도한 일본 정부는 쇠제비갈매기를 해변 환경변화에 가장 취약 계층으로 지난 2008년 `멸종취약종`으로 지정했다.

앞서 2003년 일본 환경청은 해변 정비로 서식지가 파괴되자 일부 자연적인 서식지가 존재하는 곳이 있다면 공사를 하지 않은 지역이라고 지적, 지속적인 보호관리 필요성을 발표했다.

1991년 카나이 씨의 논문과 2009년 일본 `생물과 대화 142호`학회지에 동경대 후지타 교수, 메이지대 구라모토 교수 등이 발표한 자료는 쇠제비갈매기 개체수 최대 급감 원인으로 도쿄만 인구 밀집지역 90% 이상의 해변이 재정비된 이후 원래 서식지가 파괴됐거나 사라진 이유를 들었다.

이에 따라 일본 학자들은 1991년부터 인위적 교란으로 인해 파괴된 서식지 복원을 위한 연구와 인공 서식지 개발에 착수했다.

상위 포식자와 장마 등 여러 원인으로 거듭 실패했지만 2001년 도쿄만 북서쪽에 하수처리장 옥상에 콘크리트를 잘게 부순 알갱이로 인공모래톱을 조성한 결과 개체수가 해마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2천여개 이상 알이 부화될 정도로 부화성공율도 매우 성공적이었다. 일본 정부의 관심과 학자들의 해변 조류 연구가 꾸준히 지속되면서 인공모래톱 조성은 쇠제비갈매기의 귀환에 유일한 성공사례로 남았다.

◇호주 쇠제비갈매기 담당 공무원들의 활약

호주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즈 주(州) 남동부 해안가는 6천여마리의 쇠제비갈매기 서식지로 손꼽힌다.

그러나 천적이나 도시개발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자 1993년 주정부는 `멸종위기종(endanger species

)`으로 정했다. 2008년 주(州) 기상환경청은 `쇠제비갈매기의 귀환과 부활` 이란 책을 출판해 국민들의 공감과 동참을 호소했다.

주된 내용은 인위적 교란이나 상위 포식자 등 새들이 해안가를 떠난 이유, 인간과 조류가 조화롭게 살기위한 방법 등이다.

호주 정부는 지속적인 서식지 보호를 위해 △인위적 교란행위 차단 △상위 포식자 명시 및 포획 등 강력한 법을 만들어 시행하고 있다.

대표적 사례로 해당지역에 공무원을 배치해 서식지 모니터링, 여우 등 잠재적 포식자를 추적하는 토우라 팀(Towra team)을 창설했다. 이 팀은 인근 학교를 돌며 학생들에게 쇠제비갈매기 보호에 관한 교육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주정부는 서식지의 지속적 보호를 위해 철새이동관리법을 제정하고 `일본·호주(Jamba)`와 `중국·호주(Camba)`국가 간 철새관리·보호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기도 했다.

이 같은 노력으로 최저 개체수가 관측된 1995년 이후부터 점차 회복해 2007~2008년을 고비로 당초 개체수를 유지할 수 있게 됐다.

안동/권광순기자

gskwo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