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역 부지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 미국 뉴욕 도심을 지나는 하이라인 공원 전경.

■ 글 싣는 순서

① 포항역은 어떤 곳인가
② 포항시·코레일의 활용방안
③ 외국 사례로 본 개발대안<상>
④ 외국 사례로 본 개발대안<하>
⑤ 지역 실정 맞는 아이템 필요
⑥ 지자체 넘어 시민이 주도를

미국 뉴욕 `하이라인`
철거 위기서 보존 선회

도시 대표 관광상품 부상
세계 관광객 발길 이어져

효자역~포항역 구간
철로 철거계획 재고해야

최근 서울시는 서울역 고가도로를 철거하지 않고 시민들이 걸어 다닐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키로 했다. 지난 1970년 개통된 이 도로는 상판 안전도 D등급 판정을 받아 철거될 예정이었지만 서울시가 고가의 취약 시설물을 보강하는 방식으로 원형 구조물을 최대한 보존, 뉴욕의 랜드마크가 된 `하이라인 파크` 못지 않은 공원을 조성하기로 방향을 튼 것이다. 서울역 고가 재생을 통해 남대문, 남대문시장, 구 서울역사 등 인근 지역과 연계한 관광명소를 만들고, 이를 통해 지역 경제와 환경을 활성화 시킨다는 복안이 깔린 것이다.

그렇다면 서울시의 롤모델이 된 뉴욕의 하이라인은 어떤 곳일까.

하이라인은 1930년대 뉴욕에 공장과 창고로 붐볐던 시대에 화물을 실어 나르기 위해 건설한 고가 철도다. 앞서 100여년 동안 산업 부두 지역인 맨해튼의 웨스트 사이드 거리를 오가던 철로에서 운행 열차와 도로 교통수단 간의 사고가 잇따르고, 교통 혼잡과 체증이 빈번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설한 것이 고가 철로였다. 고가철로는 개통 후 기대했던 대로 뉴욕 교통난 해소에 큰 기여를 했다. 그러나 도심을 지나는 하이라인은 새로운 간선도로망 건설과 트럭 운송량 증가에 따른 철도 화물 수송량 감소로 운행 구간이 차츰 줄어들었고, 급기야 1980년 하이라인의 운행이 중단되고 만다. 방치된 하이라인은 1980년대 말에 이르러선 녹슬고 혐오스러운 산업 폐기물로 도심의 흉물로 전락한다. 이후 하이라인 구조물 아래의 땅 주인들은 하이라인 철거 주장을 펼쳤고, 급기야 1999년 뉴욕시는 맨해튼을 관통해 연결된 2.4km의 열차 선로인 하이라인을 철거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프리랜서 기고가이자 에디터 조슈아 데이비드와 컨선턴트 로버트 해먼드는 산업 유물인 하이라인을 철거한다는 사실에 관심을 갖고 이에 맞선다. 그리고 1999년 `하이라인 친구들`을 공동 창립한 이들은 폐허의 하이라인을 새로운 공간을 재탄생시키는 시민운동에 나섰다. 이들은 철거입장을 내놓은 뉴욕시 설득은 물론이고 각종 단체, 유명인사, 시민들의 지지를 이끌어 내는데 전력을 기울였다. 이들은 10년 세월에 걸쳐 이 노력을 계속했고, 마침내 하이라인 철거를 막아냄과 동시에 지난 2011년 뉴욕시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된 `하이라인 공원`을 재탄생시키기에 이른다. 30년간 방치된 낡은 고가 철로는 하늘에 떠 있는 녹색 공원으로 거듭났고, 도심 속 자연의 길이 새로 만들어 진 것이다. 100여년 전 산업시대 유물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위기를 잘 넘긴 하이라인공원은 그 후 뉴욕 대표 관광 상품으로 자리잡았고, 지금은 세계인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하이라인 공원 건은 현재 전 세계 도시 재개발 기획에 발상의 전환을 준 대사건으로 꼽힐 정도며, 서울시가 이번에 이를 벤처마킹하기에 이르렀다.

포항시와 시민들도 포항역 활용법과 관련해 하이라인의 개발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포항시의 포항역 개발안에 따르면 포항역사 부지의 개발에만 관심을 뒀지, 철길인 효자역~포항역까지의 철로에 대한 계획은 아직 없다. 별도의 사업으로 취급하고 있는 것이다. 시는 그동안 장기간 방치됐던 북구 우현동 유류저장고에서 신흥동 안포건널목까지 총 2.3㎞에 이르는 폐철도를 도시숲 공원으로 조성한 데 이어 효자역~포항역 구간 도심숲 조성 계획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 도시숲은 철로를 대부분 철거해 조성한 탓에 과거 이곳이 철길이었다는 사실 인식은 할 수 없다. 현재의 우리가 후대에게 물려 줄 근현대 역사 유물을 스스로 없앤 셈이다. 효자역에서 포항역까지의 철길이 하이라인 공원과 같이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거듭 나도록 할 수는 없을까. 포항 도심재생 절차에서 반드시 짚어봐야 할 사안이다.

/김기태기자 kkt@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