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방폐장 보유 최적입지 갖춘 경주에 울진·영덕 등 나서
경북도는 도내 시군 입장조율 뒷짐, 최대라이벌 부산만 좋을 판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는 `핵 탈출`산업인 원전 해체시장을 선점하기 위한`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이하 원자력해체센터)를 두고 광역 및 지자체 별로 유치전이 달궈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주시가 유치 활동에 돌입했지만 울진군과 영덕군도 유치전에 나설 움직임인데다 대구시도 유치의향서를 내놓은 상태라 지역 내에서 의견이 갈리면서 자칫 강력한 라이벌인 부산시에 빼앗길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도내에서 원전 집적지인 경주시는 이 거대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뒤늦게 유치전에 합류하는 등 시민들의 비난이 거세게 일고 있다.

원자력해체센터 설립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인 미래창조과학부가 올 3월 유치의향서를 접수한 결과 경북·대구·경남·부산·울산·전남·전북·강원 등 8개 광역단체가 지원했으며, 오는 12월께 건설 예정지를 결정하고, 2016년께 설계에 착수해 2019년에 완공할 예정이다.

정부 지원금이 없는데도 유치 경쟁률이 높은 것은 막대한 경제유발 효과 및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국제원자력인력양성원, 제2원자력연구원 등 관련 연구기관 유치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글로벌 원전의 노후화와 사용기한 종료로 인해 해체 대기 중인 원전이 고리원전1호기를 포함해 122기(2050년 해체 대상 430여 기 추정)에 이른다. 시장 규모는 2030년 500조, 2050년 1천조원으로 전망되며, 1기당 해체비용이 6천500억원~1조원대인 `영속산업`이다.

때문에 경북도는 23개 시·군 중 어디가 되든 원자력해체센터 `유치 티켓`을 거머쥔다는 목표 아래 작년 8월 서울대에 유치타당성 용역을 의뢰, 올 2월 마무리한 데 이어 올 들어 두산중공업(시행)·한전전력기술(설계)·원자력환경공단(처분)·한전KPS(유지보수) 등 원전관련 기업 및 기관과 MOU를 맺었다.

하지만 경주시는 지난 25일 지역의 학계·산업계·연구계·언론계·종교계·시민단체 관계자 54명으로 구성된 `원자력해체센터 경주 유치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이 기술센터에 대한 정보도 경주시가 학계로부터 정보를 받아 뒤늦게 유치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부산지역과는 대조적이다.

유치위원회 구성원들도 경북지역의 다수 국회의원과 관련학회에서 명망이 높은 대구경북의 교수, 역외 유력언론사 관계자들을 대거 포함하는 `매머드급`이 아닌 지역 출신이다.

이에 대해 시민사회는 “경주시 정보수준은 하위점이고, 유치의사라곤 전혀 찾아볼 수 없다”고 말했다.

부산시의 경우 입지선정까지 완료한 후 지역 국회의원 등 정치권과 연계한 가운데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세계 최대 원전 밀집지역에 거주하면서 부산시민들이 큰 고통을 감수했다”는 `도의적 명분` 과 “전자·건설 및 학계 인프라가 잘 짜여져 `입지적 명분`이 충분하다”며 유치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원전과 이를 운용하는 한국수력원자력, 방폐장 등을 끼고 있고, 주민 수용성·확장성 등 유치 최적지임에도 경주시는 홍보예산을 비롯 유치 메뉴얼까지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원자력해체센터`는 서병수(새누리당) 부산시장이 지난 지방선거에 `공약`으로 내세워 전 시민적으로 추진중에 있다.

그러나 대구시 참여에 이어 경북도내 지자체도 유치전에 끼는데도 경북도는 수수방관만 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경북도가 조정 능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북도 에너지산업과 김승열 사무관은 “유치의향서 제출 때나 용역 때 후보지 다일화를 이끌어냈어야 하는데 늦은감이 있다”면서 “조만간 대구시와 접촉하는 것은 물론 정부가 제시할 세부 조건을 토대로 경북도내 최종 후보지를 결정해 추진에 힘을 실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경주/황재성기자

 

    황재성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