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경의지체장애 1급
바야흐로 오늘날은 21세기 최첨단 시대를 실현하는 시뮬레이션 글로벌 사회이다. 이런 디지털 시뮬레이션 사회에서 아직도 이방인 취급을 받는 무리가 있으니 이름하여 `장애인`이다.

잠시 거슬러 올라가 보면 조선시대에도 장애에 대한 이분법 사고가 없었다고 한다. 귀족의식, 민간·사대부 신분의 격차가 격심했던 그 전통사회에서도 장애인의 의식은 `장애`보다 `능력`을 중시하는 장애인사였다고 하니 참으로 놀랍다.

복지정책 또한 조선 후기에는 상당한 선진국 수준이었다고 한다.

실학자 최한기의 `인정(人政)`과 홍대용의 `담현서`에서 장애인 일자리 창출에 대해 강조했고, 중증장애인은 정부가 직접 나서 구휼했다고 한다.

세계적으로는 1948년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누구에게나 동등한 존엄성과 권리가 있다`라고 세계인권선언서에 선포됐다. 하지만, 대한민국 장애인들의 입지는 어떠한가.

사소한 이동권에서부터 크게는 생활권에 이르기까지 어느 것 하나 정점에 이른 것이 별로 없다.

그 예로 지난 6·4 지방선거 때이다. 투표소는 다행히 집과 근거리여서 휠체어로 이동했기에 나 개인적으로는 별 불편함이 없었다.

허나, 문제는 기표대의 높이였다. 막상 투표를 하려고 하니 장애인을 배려한 기표대는 한 곳도 없었다.

비장애인의 키 높이에 맞춘 기표소에서 휠체어에 앉아서 투표해야 하는 유권자는 등줄기에 땀나는 작업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육감까지 포함된 7개의 도장 세례를 베풀어야 하는 과정인데 말이다.

현장의 배려로 파일을 무릎에 놓고 연결된 기표봉을 당겨 투표는 했지만 그 참담한 장애인 유권자의 심정을 한 번쯤 알음 해 보는 건 어떨까. 그 여러 개의 기표소 중 한 곳만 기표대를 낮추면 만사 평정할 단순한 배려조차 염두에 없는 저들의 7·30 재·보궐선거에 참여도를 또 한 번 더해야 하나 의구심도 들고 회의감도 느낀다.

1990년대 대선 때에는 휠체어가 2, 3층 계단을 타고 3~4명의 봉사자들에 의해 짐짝처럼 드리워져 신변보장 안전장치 하나 없이 모험에 가까운 내 한 표를 내어준 적도 있었다.

이젠 대한민국도 2013년 기준으로 경제력 순위 GDP(국내기준) 15위나 되고 지방자치제도도 지난 1991년 부활돼 23년째로 접어들었다. 버금가 성숙한 시민의식부터 개의되어 장애·비장애에 대한 이분법의식 버리고 위정자, 출마자들 또한 당리당락·사리사욕·이권 다 내려놓고 국민의 마음을 살피고 약자의, 음지의 장애인의 권한을 최대한 보장해 주길 염원한다.

나도, 우리 장애인도 국세, 지방세, 기타요금, 생필품, 요식 등의 부가가치세도 어김없이 내며 생존하는 대한민국 국민이다.

모리스 크랜스턴은 이렇게 서술했다. “인권은 모든 시대의 모든 사람에게 속한다.인권은 특수한 위치에서 파생하는 권리가 아닌 인권은 단지 인간이 인간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속하는 권리다”고.

우리 모두가 지역, 신분, 경쟁력에 있어 공통분모를 만들어 소나무, 전나무가 함께 뿌리 내리는 그날을 염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