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기획취재 시리즈
포항 `한국의 아들러스호프` 꿈꾼다

▲ 아들러스호프 연구단지 내 훔볼트대학교의 정보교류 게시판. 이곳 사람들은 이 게시판을 활용해 기업체와 연구기관, 학교 간의 정보를 교환하고, 학생들의 취업 및 창업을 적극적으로 돕고 있다.

매출액 40억달러이하, 글로벌시장 점유율은 톱 클래스
발빠른 사업전환 유도… 기술분야 특화기업 성장 지원
망하지 않는 `히든 챔피언` 길러내 中企육성정책 롤모델

■ 글 싣는 순서

① 포항의 과학 인프라 활용 가능성
② 포항시와 지역 연구기관 협조 실태
③ 대덕연구단지의 성공사례
④ 대전시·대덕연구단지 상생 비결
⑤ 세계최고 연구단지 獨 아들러스호프
⑥ 아들러스호프, 세계과학 비전 제시하다
⑦ 포항 `한국의 아들러스호프` 가능한가
⑧ 포항 과학의 문제점과 향후 방향

□ `히든 챔피언`의 산실

아들러스호프는 연구단지가 설립된지 20여년이 흘렀지만 전세계적인 명성을 떨치고 있는 글로벌기업 육성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세계 어느 곳에 내놓아도 경쟁력이 뒤처지지 않을 강소기업 수백개를 만들어 독일 국민들에게 일자리창출, 소득향상 등 실질적인 이득을 가져다줬다.

독일의 경영학자 헤르만 지몬이 생성한 개념인 `히든 챔피언`에 속하는 기업을 많이 양성해냈다는 것이다. 히든 챔피언이란 일반에 잘 알려지지 않은 매출액 규모 40억달러 이하 기업 중 세계시장 점유율 3위 이내 또는 대륙시장 점유율 1위에 올라있는 강소기업을 지칭한다.

비스타 유한회사에 따르면 지난 2012년 기준 전세계 2천700여개 히든챔피언 중 1천300여개가 독일기업이다.

아들러스호프는 이들 중 40여개 기업을 히든챔피언으로 육성해 세계 중소기업 정책의 롤모델로 부상하고 있다.

이같은 성과를 이뤄낸 데에는 창업기업에 대한 철저한 지원정책이 큰 역할을 했다.

아들러스호프는 연구단지 내에 새로운 기업이 설립될 경우 사업계획 단계에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성공여부를 예측하고 기존의 트렌드에 연연하지 않고 기술분야에 특화된 기업을 육성하며 도산위기에 놓였을 때는 즉각적인 사업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이 결과 지난 20년간 이곳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회사 중 95%가 살아남아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이는 창업 천국이라는 미국의 실리콘밸리의 창업성공률보다 최소 5배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에 대해 헬게 노이만 비스타 유한회사 사업개발팀 총괄매니저는 “우리의 목표는 빠른 시기에 거대한 기업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오랜기간 동안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망하지 않는 기업을 창출해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훔볼트대학교의 산실인 훔볼트도서관의 내부모습. 지난 10여년간 이곳은 독일경제를 이끌어가는 수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 훔볼트대학교의 산실인 훔볼트도서관의 내부모습. 지난 10여년간 이곳은 독일경제를 이끌어가는 수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 첨단과학도시의 꿈

지난해 7월 염홍철 대전시장 일행은 아들러스호프를 방문해 과학과 산업이 성공적인 조화를 이뤄낸 세계적인 과학클러스터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는 대덕연구단지라는 국내 최고의 연구단지를 보유한 대전과 베를린 아들러스호프 간 과학기술 교류협력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당시 비스타 유한회사 측은 아들러스호프의 성공요인으로 꾸준한 투자와 입주기관 간 적극적인 협력관계, 세제혜택을 바탕으로 한 인프라 제공 등을 꼽았다. 특히 철저한 도시계획으로 연구소와 기업, 문화·상업시설 등이 혼재돼 있어 구성원 간 발전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이에 염 시장은 “연구단지를 총괄하고 있는 비스타 유한회사는 대덕연구개발특구를 관리하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조직”이라면서 “비스타 유한회사의 선진적인 연구단지 관리 노하우를 배워 대덕에 접목할 필요성이 있다”고 역설했다.

대덕연구단지가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 아들러스호프의 성공전략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방문은 올들어서도 이어졌다. 지난 3월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사절단 일원으로 독일을 방문한 소상공인연합회가 이곳을 찾은 것이다. 강소기업 육성을 위해 히든챔피언의 산실인 이곳을 벤치마킹하기 위한 것으로 대전시의 방문과는 다소 성격이 달랐지만 이곳의 성공노하우를 배우기 위한 방문이라는 점에서 목적이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아들러스호프는 8천여㎞ 떨어진 한국에서도 끊이지 않는 관심이 쏟아지고 있을 만큼 성공적인 과학클러스터로 인정받고 있다.

동해안연구개발특구 지정을 통해 첨단과학도시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는 포항도 마찬가지이다. 최근 연구개발특구 유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타지역과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포항만이 지닌 특성화된 산업을 찾을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 대기업 육성에 혈안이 된 여타지역과는 달리 강소기업을 육성, 히든챔피언으로 만들어 낸 아들러스의 성공사례는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비스타 유한회사 사업개발팀 총괄매니저를 맡고 있는 헬게 노이만은 아들러스호프의 성공 배경에 대해 베를린 연방정부의 전폭적인 투자가 큰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 비스타 유한회사 사업개발팀 총괄매니저를 맡고 있는 헬게 노이만은 아들러스호프의 성공 배경에 대해 베를린 연방정부의 전폭적인 투자가 큰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인터뷰/ 헬게 노이만 비스타 유한회사 사업개발팀 총괄매니저
“연방정부 전략적 지원… 세계최고 과학클러스터 성장”

-아들러호프가 세계적인 연구단지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은.

△1991년 이곳은 사실상 연구기반이 거의 없는 곳이나 다름없었다. 베를린 연방정부는 이곳을 세계 최고의 과학클러스터로 만들기 위해 집중적인 투자를 하기 시작했다. 이는 서독에 비해 뒤떨어진 동독의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이기도 했다. 여기에는 초반 10여년간 2조원이 넘는 예산을 아낌없이 투자한 베를린 연방정부의 역할이 매우 컸다.

-아들러스호프가 독일경제에 기여한 점은.

△아들러스호프는 독일 전체 GDP의 3.5%가량을 생산하는 연구단지로 도약했다. 또한 연구단지 내 연구소 및 기업체와 직·간접 연관성이 있는 기관·단체까지 포함 3만명 이상의 고용창출 효과를 내고 있다. 이같은 성과에 힘입어 2020년부터는 4.2㎢의 연구단지 규모를 2배까지 확장할 계획을 갖고 있다.

-아들러스호프의 사례에 비춰 포항과학의 성장가능성에 대해 말해달라.

△사실 포항이 처해있는 상황에 대해 정확히는 알지 못한다. (세계적인 철강업체 포스코에 대해 설명하니 “포스코 본사가 있는 도시였던가”라고 놀라며 말문을 열었다) 현재 세계 철강경기는 침체일로를 걷고 있으며 철강생산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진 포항은 이제 선택의 기로에 놓였다. 새로운 성장기반을 찾아나서야 하는 것이다. 이는 20여년전 아들러스호프가 처했던 상황과는 다소 다를 수 있지만 침체기에 빠진 도시를 되살릴 수 있는 무언가를 찾아야하는 처지는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아들러스호프는 당시 정부의 전략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과학클러스터라는 성장동력을 발굴해내는데 성공했다. 마찬가지로 포항도 포스텍, 막스플랑크연구소, 방사광가속기연구소 등 뛰어난 과학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면 성공적인 연구단지 대열에 합류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작성된 것입니다.

/박동혁기자 phil@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