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월신화 `연오랑 세오녀` 역사로 다시 태어나다
5세기 이전 영일만서 日로 건너가 제철기술·농사법 등 전수

▲ 포항시 남구 대보면 호미곳에 세워진 연오랑세오녀 동상.

연오랑 세오녀라는 옛 사실은 경북의 혼을 알아내기 위해 간직해야 할 귀중한 우리의 자산이다.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것은 과거를 거울삼아 현재를 되돌아 보고 앞날을 내다보는 지혜를 얻기 위해서 일 것이다. 과거사 속에서도 커다란 물줄기를 이루는 부분을 바로 잡아가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연오랑 세오녀의 부활은 꼭 이루어야 할 필수적인 것이다. 부활의 의미는 연오랑 세오녀를 현재의 여러 가지 방안으로 되살리는 것이다.

글 싣는 순서
<4부=역동적 삶의 터전, 경북동해안>

21) 모여서 되찾는 삶의 의욕- 민속
22) 바다로 달려간 밥상- 음식
23) 구비 마다 세겨진 인물 이야기
24) 부활하는 연오랑 세오녀
25) 변방의 부활은 창대할지니- 에필로그

연오랑과 세오녀는 박인량이 지은 `수이전`에 나오는 설화인데, `수이전`은 전하지 않고 `삼국유사`와 `필원잡기`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

고려 충렬왕 2년(1285년) 일연이 펴낸 `삼국유사` 권1 기이편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수록됐다.

신라 제8대 아달라 이사금 즉위 4년(157년) 동해 바닷가에 연오랑(延烏郞)과 세오녀(細烏女) 부부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연오랑이 미역을 따러 올라섰다 바위(귀신고래라는 설이 있다)가 움직이더니 연오랑을 싣고 일본으로 가게 되었다. 연오랑을 본 일본 사람들은 그를 신이 보냈다 여겨 왕으로 섬겼다. 세오녀는 남편을 찾다가 마찬가지로 바위에 실려 일본으로 가 서로 만나게 됐다.

그러자 신라에는 해와 달이 빛을 잃었고 해와 달의 정기가 일본으로 건너갔다는 말에 따라 사신을 보내 두 사람을 청했으나 연오랑은 하늘의 뜻이라며 돌아 갈 수 없다 하고 세오녀가 짠 고운 비단을 주며 이것으로 제사를 지내라 하였다. 그 말대로 제사를 지내니 다시 해와 달이 빛났다. 이때 제사를 지낸 곳이 영일현(迎日縣:지금의 영일만)이다.

연오와 세오의 이동으로 일월이 빛을 잃었다가 세오의 비단 제사로 다시 광명을 회복하였다는 자취인 일월지(日月池)는 지금도 보존되어 있다.

이 내용은 저자인 일연(一然)이 당시까지 전해져 내려오던 이야기를 담았을 것이다.

 

▲ ▶일본 신들의 고향이라 불리는 이즈모 타이사 입구.

한편 연오랑이 일본으로 건너가 왕이 되었다는 서술로 `일본제기(日本帝記)`를 살펴보면 “(이 때를) 전후하여 신라 사람으로서 왕이 된 자가 없었다. 이는 변방 고을의 작은 왕이지 진짜 왕이 아니다”고 주를 단 사람도 있었다.

이 주를 단 사람들이 전설이나 설화를 액면 그대로 해석하려고 애쓴 모습이 보이고 있다.

아무튼 연오랑과 세오녀에 담긴 내용은 가야의 중심 세력이 본격적으로 일본 열도로 건너간 것으로 추정되는 5세기 이전에 영일만에서 일본으로 건너 간 사람들에 대한 유일한 기록인 것이다.

이 지역은 영일(迎日) 이라는 이름처럼 한반도에서 가장 해가 일찍 뜨는 곳으로 새해 첫날 1월1일에는 관광객이 새해 첫 해를 맞이하려고 온다.

지금이야 해맞이를 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지만 설화의 배경인 당시에는 태양신, 천신에게 제사를 올리는 국가적 행사의 장이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야에가게신사-일본 최고의 벽화,중요문화재.

그 제사 장소가 뜻으로 읽으면 도기야, 즉`으뜸가는(都) 제사(祈)를 올리던 들판(野)`이라고 읽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귀비고는 이 제사에 소요되는 제물과 도구를 간직하던 성스러운 장소였는지도 모르는 것이다.

그리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영일현의 옛 이름이 `근오지`(斤烏支)였다라고 하였다. 근(斤)이 `큰`(大)의 이두로서 흔히 쓰였다는 점에서 `큰 오기`의 이두식 표기라고 볼 수 있다. 이 `큰 오기`와 현재 일본의 시마네(島根)현 이즈모(出雲) 지방 오키(隱岐)섬의 발음이 비슷하다.

이것을 두고서 옛날 이즈모 지역이 신라였던 이 지역과 깊은 관련성을 가졌음을 추정하게 하는 요소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일본에는 1636년에 제작된 `이즈모 12군도` 등에서 보이듯 이즈모 지역은 원래 한반도 동남부를 떼어 붙였다는 전설이 있다.

일본 설화나 지리적 요소 등과 함께 두 지역의 적지 않은 관련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사실을 밝혀보고자 하면 현지에서 이루어지는 현장 조사의 필요성이 절실한 부분인 것이다.

한·일 학자들 중에서는 이러한 내용들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으며 연오랑과 세오녀가 단순하게 신라 초기에 신라인이 일본으로 이주해 간 사실만을 알려주는 것만이 아니라 보다 더 큰 의미로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있다.

연오랑 세오녀는 일월신화로 이들 부부가 일본 이즈모로 건너가 제철기술과 농사짓는 법, 베 짜는 법 등을 전수하고 일본의 왕이 됐다는 내용을 제 사실로 보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설화가 일식이나 월식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추정을 하고 상당한 근거를 찾아 낸 사람들도 있다. `삼국유사`가 연오랑 세오녀의 배경으로 소개한 시기는 서기 157년 중국의 뤄양(陽)에서 일식이 있었다는 `후한서(後漢書)`의 기록을 가지고 당시 이 지역에서도 일식이 있었던 것이라고 해석하는 것이다.
 

▲ 이즈모 타이사 전경-이즈모 타이샤는 일본의 대국주 신을 받는 곳으로 일본 신사들의 총본산.

이와 같은 경북의 혼을 찾을 수 있는 연오랑 세오녀를 오늘에 되살리고자 하는 노력이 근년에 와서 이뤄지고 있어, 연오랑 세오녀가 긴 잠에서 깨어나 눈을 뜨고 부활하는 모습을 보고 있는 것 같다. 특히 이 설화가 단순히 신화이냐, 역사이냐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있는데 일부 국어학자들이 전자에 중심을 두고 있는 반면, 향토사학계에는 일본 내 문헌과 각종 근거를 토대로 후자를 보강하고 있는 경향이 크다.

지난 6월에는 문화 콘텐츠 발굴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불의 여인 세오녀` 창작 창극이 포항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대에 올려져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2 지방문예회관 특별프로그램 개발지원사업에 선정돼 포항시시설관리공단과 지역 공연기획 단체인 전국푸른문화연대와 함께 추진하는 공연이다.

연오랑과 세오녀가 창작 국악뮤지컬로 다시 태어난 것이었다.

□특별취재팀 = 임재현, 정철화, 이용선(이상 본사 기자), 김용우 향토사학가, 장정남 한빛문화재연구원 전문위원.

관련기사

    임재현, 정철화, 이용선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