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17일 오전 8시30분 급병으로 사망했다고 북한 매체들이 19일 일제히 보도했다. 이로써 1998년 김일성 주석 사후 국방위원장으로 김정일 시대를 연 지 13년 만에, 1974년 후계자로 공식화된 지 37년 만에 김 위원장의 철권통치가 막을 내렸다.(관련 기사 2,3,4,6,19면)

 이명박 대통령은 즉각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비상국무회의를 주재, 대응책을 논의했으며 전군은 비상경계태세에 돌입했다. 전방지역의 북한군 특이동향은 포착되지 않고 있다.

 ◇북 매체“김정일 급병 서거”

 북한 매체는 19일 ‘전체 당원과 인민군 장병과 인민에게 고함’이란 제목의 발표문에서 “김정일 동지께서 주체 100(2011)년 12월17일 8시30분에 현지지도의 길에서 급병으로 서거했다”고 밝혔다.

  당 중앙위원회, 당 중앙군사위원회, 국방위원회,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내각 공동명의의 발표문은 “우리는 김정은 동지의 영도따라 슬픔을 힘과 용기로 바꾸어 오늘의 난국을 이겨내 주체혁명의 위대한 새 승리를 위하여 더욱 억세게 투쟁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통신은 ‘김정일 동지의 질병과 서거원인에 대한 의학적 결론서’에서 “17일 달리는 야전열차 안에서 중증 급성 심근경색이 발생되고 심한 심장성 쇼크가 합병됐다”며 “발병 즉시 모든 구급치료대책을 세웠으나 17일 8시30분에 서거하셨다”고 밝혔다.

 북한은 김정은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등을 포함해 232명으로 장의위원회를 구성했으며, 장의위는 공보를 통해 김 위원장의 시신을 금수산기념궁전에 안치하고 28일 평양에서 영결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정부, 비상대응체제

 정부는 즉시 ‘비상체제’로 전환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예정된 일정을 모두 취소하고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 북한군 동향을 실시간으로 보고받는 등 대내외 상황을 점검했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위기관리매뉴얼에 따른 대응조치가 차질없이 이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북한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만반의 태세를 갖추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오후 2시께부터 연쇄적으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노다 일본 총리 등과 전화통화를 하고 김정일 위원장 사망과 관련, 제반상황을 논의했으며 각국 정상은 향후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긴밀히 협력키로 했다고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또 비상국무회의를 소집,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철저히 대비하고 국제사회와도 긴밀한 협조체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고 “국론이 분열되지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온 국민이 의연하게 대응해 가자”고 강조했다.

 ◇합참 “북한군 특이동향 없어”

 군당국은 전군 비상경계태세에 돌입했다.

 군은 전방지역에 RF-4 대북 정찰기 등 정찰·감시자산을 증강해 대북감시태세를 강화하고 있으며 한미연합사와 북한군의 동향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다.

 합참은 주한미군 측과 협의해 U-2 고공정찰기와 KH-11 첩보위성의 대북 정찰횟수를 증강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정보분석 요원을 대거 증강해 북한의 도발 징후 파악과 분석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는 대북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을 3단계에서 2단계로, 대북방어준비태세인 데프콘을 4단계에서 3단계로 격상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합참의 한 관계자는 현재 북한군의 도발 임박 징후 등 특이동향은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비무장지대(DMZ)와 판문점공동경비구역(JSA), 서해 북방한계선(NLL) 지역에서의 도발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창형기자 chlee@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