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마지지(馬之智)

노마지지(馬之智)는 산길에서 길을 잃고 괴로위할 때 늙은 말을 풀어 그 뒤를 따라가서 길을 찾아냈다는 고사에서 온 것으로 어디에서고 배울 점이 있다면 대상이 어떻든 간에 배위야 한다는 비유이다. 노마지교(馬之敎)라고도 한다. 한비자의 설림(說林)편에 나온다.

제나라 환공(桓公)의 재상 관중은 어느 봄날 대부 습붕과 함께 환공을 따라 고죽이란 나라를 징벌하기 위해서 행군한 적이 있었다. 겨울까지 오래 끄는 싸움이었는데 도중에서 길을 잃고 말았다. 이때 관중이 말했다. “이런 때에 늙은 말의 지혜를 써야 합니다(馬之智加用也)”

그리하여 말을 풀어 그 말이 가는 곳을 따라감으로써 위기에서 탈출할 수 있었다. 또 어느 땐가는 산속을 거닐다가 마실 물이 떨어졌다. 이때 습붕이 이렇게 말했다. “개미는 겨울에 산의 양지쪽에 살고 여름에는 북쪽 그늘에 있는 법입니다 그리고 개미집이 땅 위 한 치 높이에 있으면 그 여덟 자 밑에서 받드시 물이 있습니다” 물론 그 말대로 개미집을 찾아 땅을 파서 물을 얻을 수 가 있었다 한비자는 이 이야기를 하고는 그 끝에 이렇게 설명을 덧붙였다.

관중이나 습붕처럼 성인이란 말을 듣고 지혜가 깊다는 소문이 난 사람도 자기가 모르는 것 미치지 않는 것이 있다면 늙은 말이나 개미일지라도 수치를 느끼지 않고 길잡이로 삼아 선생으로 모신다. 그러나 오늘날의 사람들은 잘 알지도 못하면서 고대 성인의 지혜를 스승삼아 배우려 하지 않으니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배우는 데 있어서는 관중이나 습붕처럼 겸손해야 한다. 또 열심히 배울 점을 발견해 내야 한다. 늙은 말이건 하찮은 미물이건 간에 배울 점은 배워야 한다. 늙은 말이나 개미 등은 그 오랜 경험과 본능으로 많은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연륜이 쌓여서 경험이 풍부한 사람도 있을 수 있고 어떤 분야에서 놀라운 재능을 보이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또는 자기 자신은 특별히 알고 있다는 의식조차 없이하는 행동인데 옆에서 가만히 살펴보면 눌랄 만한 깊은 이치를 배울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그 경험의 진리를 부지런히 찾아서 배우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지혜롭고 현명한 사람이라 하겠다.

인간은 위대하다. 지혜를 배우려고 노력하는 자는 더욱 위대하다.

/쌍산 김동욱

한국서예퍼포먼스협회 상임고문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