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가 일제에 의해 강점당한 지 채 반년이 지나지 않은 1911년 정월 초닷새. 안동의 고성이씨 임청각 종가의 17대 종손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 1858~1932)은 집안 누정인 군자정(君子亭)의 차디찬 마루바닥에 꼿꼿이 앉아 새벽을 맞았다. 이윽고 동녘으로 한 줄기 여명이 칠흑의 하늘을 가르자 마침내 결심을 굳힌 듯 몸을 일으켜 사당으로 향했다. 사당에 오른 석주는 조상의 신위 앞에 엎드려 마지막 인사를 올린 후, 위패를 감실에서 조심스럽게 꺼내 사당 마당으로 내려섰다. 그리고는 옆에 있는 삽을 들어 땅을 파고 위패를 묻었다.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느냐며 주위 사람들이 만류하였지만, 나라가 망했는데 조상의 위패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내쳤다. 석주가 독립투쟁을 위해 만주로 망명길에 오르던 날 아침을 그려본 삽화이다.

1455년 세조의 찬탈에 분노하여 영산현감(靈山縣監) 자리를 내 던지고 경기도 광주로부터 안동으로 낙향한 고성이씨 12세손 이증(李增: 1419~1480)이 안동 읍성 남문밖에 주거를 마련하고, 뒤이어 그의 셋째 아들 임청각(臨淸閣) 이명에 의해 낙동강변에 처음으로 터가 닦인 고성이씨 임청각 종가의 450여년 역사는 다른 누구도 아닌 17대 종손의 손에 의해 그렇게 땅에 묻혔다.

일제하 임시정부의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의 생애는 몇 개의 변곡점들로 구성된다. 우선은 위정척사의 보수적인 세계관에 안주해 있던 주자학자로서의 삶이다.

구한말 대부분의 유학자들처럼, 젊은 시절 석주 역시 신실한 한 사람의 주자학자로서 당시의 혼란은 유교적 가치가 쇠퇴한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각각 을미사변과 을사늑약으로 촉발된 1895년과 1905년 의병운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1907년에는 가야산에 의병기지를 건설하는 일에 아예 발 벗고 나선 것은 그러한 문제의식의 연장이었다.

그러나 의병기지 건설 활동이 실패로 돌아가자 석주는 명분론에 입각한 주자학적 현실대응 방식의 한계를 절감하고 자강운동이라는 새로운 활동방식에 눈을 떠 계몽운동가의 길로 들어선다. 그는 일본의 강제병합 야욕이 현실화되어 가는 상황 속에서 주자학적 대응방식의 실패를 인정하고 서양 서적들을 탐독하며 이른바 `신학(新學)`을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나갔다. 이 때 이루어진 신학 연구의 성과는 석주로 하여금 주자학적 세계관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뒤에 계몽운동의 한계도 비판적으로 극복하고 무장투쟁에 돌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마지막은 1911년 만주로 망명한 이후부터 죽을 때까지 매진한 무장독립운동가로서의 삶이다. 경술국치로 계몽운동의 한계를 절감한 석주는 대안으로 무장투쟁을 통한 본격적인 독립운동을 선택하고 이를 위해 만주로 망명하였다.

우리 독립운동사에서 일종의 군사정부에 해당하는 군정서(軍政曙)가 상해임시정부가 들어선 후에도 여전히 만주에 존속할 수 있었던 데에는 무장투쟁을 중시한 석주의 그런 선택에 힘입은 바 크다. 이 시기 석주는 또한 러시아 혁명을 통해 구체화된 사회주의의 가능성을 주목하고, 그것을 유학의 대동사회론과 접목시킴으로써 유교적 역사철학에 진보적인 역동성을 부여하기도 하였다.

석주의 이와 같은 삶의 변곡점들을 관통하고 있는 정신은 한 마디로 유교를 기본토대로 하되, 만약 시대적 상황을 돌파해 나가는 데 필요한 것이라면 동서와 고금을 불문하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혁신유림의 자세였다. 그리고 그 혁신이 지향하는 과녁은 나라의 독립이었다. 사당의 위패를 묻고 만주로 떠나기 닷새 전 신정(新正)에 친족들을 불러 송별하는 자리에서 쓴 `나라를 떠나며(去國吟)`라는 제목의 한시 속에도 이 점은 잘 드러나 있다.

소중한 산하 삼천리 우리 강토

유학의 예법 오백년을 지켜왔네

문명이 무엇이길래 노회한 적 끌어 들였나

까닭없는 꿈결에 온전한 나라 내동댕이쳐졌네

온 대지에 그물 펼쳐진 것 이미 보았거늘

어찌 영웅 남아가 죽음을 두려워하랴

고향 동산에서 잘 살고 슬퍼하지들 말게나

태평성세 훗날 다시 돌아와 함께 살지니

그러나 이 시는 허언이 되고 말았다. 나라가 독립한 태평성세 훗날 다시 돌아와 함께 살겠다던 약속은 석주가 1932년 5월12일 중국 길림성 서란현(舒蘭縣)에서 “나라를 다시 찾기 전에는 내 유해를 고국에 싣고 가지 말라”는 유언을 남기며 그야말로 파란만장한 일생을 마침으로써 지켜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석주가 그렇게 바랐던 조국의 광복은 그로부터도 13년 뒤에야 이루어졌고, 그의 유해가 환국한 것은 그로부터도 또 45년이 더 지난 1990년이었다.

석주에게는 외아들 준형(濬衡: 1875~1942)이 있었다. 준형은 부친 사후에 일제의 탄압이 만주국까지 뻗쳐오자 노모를 모시고 고향 안동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이도 잠시 1942년 9월2일 67세 되던 생일 아침 일본이 동남아를 함락했다는 소식을 듣자 동맥을 끊어 자결했다. “하루를 사는 것은 하루의 수치를 더하는 것”이라는 유서를 남기고.

이후 석주의 집안은 석주 자신을 비롯하여 두 동생과 외아들 그리고 사위, 조카 등 모두 9명이 독립운동에 헌신하다가 생을 마쳤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석주의 증손자는 후손을 남기지 못하였다. 그 결과 21대 종손은 부득불 입후(立後: 대를 이을 종손을 양자로 들이는 일)를 통해 대를 이을 수밖에 없었다. 대를 잇기 위해 양자를 들인 일이 없었고 글 동냥을 하지 않았으며 재물이 없어 남에게 손을 벌리지 않았다는 이른바 `삼불차(三不借)`의 유서깊은 고성이씨 임청각 종가의 450여년의 전통이 문중 전체가 독립운동에 헌신하는 과정에서 끊기고 만 것이다. 일신과 집안의 화복 이전에 나라와 공동체의 안위를 더 중시했던, 경북 종가문화의 진정한 `노블레스 오블리주` 정신을 보여주는 전범이 아닐 수 없다. <끝>

/박원재(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