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을 경제학적 논리로만 접근하는 것은 물론 위험하다.

그럼에도, 지방대학과 지역기업과의 경제 상생은 몇 가지 측면에서 상호 발전가능성을 충분히 내포하고 있다.

대학의 활발한 연구과제가 지역기업에 전파될 경우 기업은 기술 혁신, 인재 유치 차원에서 메리트를 얻는다.

또, 대학은 세제 지원과 졸업생들의 취업 확보, 특성화 등을 통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대구·경북지역에서 이뤄진 산학협력은 그렇게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뒀다고 보기 어렵다.

지난해 대구테크노파크가 지역기업 600여곳을 대상으로 벌인 실태조사 결과, 56.5%의 기업만이 R&D투자를 진행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개발인력 1인당 누적 업체 수도 90%를 넘었다.

즉, 아주 소수의 연구인력이, 얼마 되지 않는 기업의 연구과제를 수행했다는 의미다.

이는 지역기업들의 R&D 의지 부족과 정부 차원의 소극적 지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지난해 경북지역에 내려진 연구개발비는 5천80억원에 달한다. 전년 대비 35.3% 늘어난 수준이지만, 전국 16개 지방에서는 겨우 11위에 머물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나 공공기관에 의지하는 지금의 사업 전개 방식에서 벗어나 지자체, 대학, 지역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아무리 우수한 연구과제가 있다고 해도, 이를 상용화하려면 전문화된 마케팅과 상품개발 연구가 별도 진행돼야 한다.

그러나 상용화 연구는 산업화 능력이 부족한 지방대학이나, 자본력이 약한 지역 중소기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테크노파크 등 `R&D 경영지원 기관`이다.

창업을 위한 세무·회계 자문부터 해외 판로개척 등 마케팅 지원을 지자체가 운영하는 경영지원 기관이 맡아준다면 지역 경쟁력 확보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사업화지원팀 황남구 박사는 “현재 정부와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테크노파크는 지역에 직접적 수익을 가져다주는 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이는 분명히 잘못된 판단이다”면서 “당장의 적자를 감수하고서라도 우수 연구과제가 있다면 경영지원기관이 나서 상용화 연구를 대신 지원한 뒤 이를 지역 기업에 인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 박사는 또 “경영지원기관의 수익은 런닝개런티 방식으로 기업의 향후 지분을 받으면 된다. 이렇게만 된다면 지자체의 경쟁력 확보는 물론, 진정한 첨단과학도시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

/신동우기자 beat082@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