⑴ 협력자에서 동행자로

최근 지방대학과 지역 중소기업의 화두는 한가지로 통일된다. 바로 `경영의 정상화`이다. 지방대학은 줄어드는 학생 수와 취업난이, 중소기업은 자금난과 우수인재확보가 각각 해결할 수 없는 과제로 남아 있다. 언뜻 보기에 성격이 다른 두 문제는, 그러나 모두 `우수 연구인력과 그 인프라의 지역공급`으로 해법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어떻게 지방대학과 지역중소기업이 함께 살아날 수 있을까. 그 최선의 답을 살펴보고자 한다.

산·학·연 연계프로그램 효과 분석 후

인재 공급·수요 시스템 구체화 시켜야

교육인적자원부가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27개 국립대학교의 산·학·연 연계사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지방 국립대학교에서는 모두 3천312건의 산·학·연 연계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하지만, 이를 통해 취업한 인원은 졸업 예정자 4만8천228명 중 6.4%(3천89명)에 불과했다.

전년도에도 모두 3천227건의 산·학·연 연계프로그램이 진행됐으나 졸업 예정자 5만806명 중 취업자는 2천550명(5.0%)에 그쳤다.

산·학·연 연계프로그램은 취업을 이끌어 내려는 대학과 우수 인재를 미리 발굴하려는 기업의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반면, 현실의 적용사례는 이러한 목표를 전혀 충족시키지 못하는 있는 셈이다.

이렇게 저조한 결과가 도출된 원인은 무엇일까. 이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산·학·연 연계프로그램의 방법론에서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지금까지 연계프로그램은 대학을 중심으로 이뤄져 왔다. 연구와 인재육성에 있어서 `공급자`인 대학이 `수요자`인 기업보다 상위에 있었다는 의미다.

즉, 현실의 지표는 지금까지의 연계프로그램이 수요자의 입맛에, 공급자의 목표가 맞지 않았다는 반증으로도 해석된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대학의 연계프로그램 구성에만 있지 않다.

△학교에서 배운 지식이 지금 하고 있는 일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한 직장인이 54.8%에 이르며 △취업자의 37.1%가 전공과 상관없는 직업을 택하고 △기업의 대학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40.7%에 불과한(교육과학기술부 2010년 통계) 현 실태를 살펴보면, 대학과 기업의 상호 의견 교류가 극히 낮다는 것이 더 큰 문제점으로 관측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이제부터라도 교육사업에 대한 효과성 분석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한양대학교 경제금융학과 이영 교수는 “대학은 `상아탑`이란 자기 굴레에서, 기업은 `경제관`이란 현실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이 결과 양자 간의 협력은 각기 다른 목표만을 설정할 수밖에 없다”면서 “더욱이 대학의 정말 중요한 연구 인프라는 자금력이 열악한 중소기업으로선 확보하기 불가능한 `그림의 떡`이다. 현 방식에서 벗어나 지자체, 대학, 지역기업으로 구성한 컨소시엄이 꾸려져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재정을 확보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신동우기자

beat082@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