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남구 동해면은 그동안 도심 인근에 위치하면서도 개발 측면에서 소외를 받아왔다.

공항과 관련된 고도제한에 의해 대규모 상가나 주택단지가 건립되기 어렵고, 또 비행기가 뜨고 내릴때 소음 등으로 인해 거주 기피지역으로까지 손꼽히는 탓이다.

영일군에 속해 있을 당시 동해면과 엇비슷했던 오천, 연일, 흥해 등이 성장을 거듭한 반면 동해면세가 내리막길을 걷게 된 것은 공항때문이라는 것은 포항시민 누구나 인정하는 부분이다. 이 와중에 신제강공장 문제가 불거졌고, 급기야는 해결 전제조건으로 동해면이 또다시 피해를 입게 됐다. 따라서 신제강공장 문제와 관련해 반발하고 있는 동해면민들의 요구를 단순 경제논리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낙후된 동해지역 개발에 전 시민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신제강공장 공사재개 복병 동해면민 반발 해법 없나

③ 상대적 낙후 관심 가져야

동해면의 총 행정구역은 43.61㎢. 그러나 실제 거주 및 상가활동이 가능한 도시계획 면적은 25.91㎢에 불과하다. 나머지 지역은 현재 산지이거나 농업지로 사용되고 있다.

총 인구도 1만4천217명(지난해 12월 기준)으로 포항지역 전체 인구 51만8천908명의 2.7% 수준이다.

이말술 포항공항확장반대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은 “1995년 민간공항 건설 당시, 동해 초·중·고 학생이 2천500명이었으나 이제 2천명도 안된다. 20년 전 3천만원이던 아파트가 지금도 가격에 변화가 없는 등 시간이 멈춰버린 것 같다”면서 “아무리 상가나 아파트단지를 유치하려 해도 비행고도제한 때문에 6층 이상을 못 지어 개발자가 안 나타난다. 토박이들이 모두 떠나가는 상황에서 또 피해를 감내하라니 가슴이 먹먹하다”고 지금의 심정을 토로했다.

낙후된 동해지역 개발을 위해 국토해양부는 지난 2009년 포항 동해면과 장기면 일대에 국가산업단지 건설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총 사업비 1조1천860억원(민자 1조269억원, 국비·지방비 1천591억원)을 투입, 2009년부터 2012년까지 1단계 5.76㎢, 2012년부터 2015년까지 2단계 3.68㎢ 규모를 조성해 철강, 자동차, 기계, 전자, 선박 등 부품소재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었다.

이 과정에서 포항시는 용역발주 등 각종 행정지원을 맡고,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비용을 부담하는 역할 분담을 약속하기까지 했었으나 현재 잠정 중단된 상태다. 비용 부담을 맡기로 했던 LH공사가 지난해 10월께 120조원 부채 등 경영악화를 겪으면서 사업 수행 자체가 불가능해진 까닭이다. 또한, 이번에 동해방면으로의 공항 활주로 연장으로 동해지역 비행안전구역이 강화돼 당초 예정된 규모의 국가산업단지 건설이 가능할지 여부도 미지수로 남아 있다.

공항 바로 인근 구획정리사업지구도 공항 활주로 연장으로 타격이 불가피하다. 당초 이 지역은 동해의 신도심으로 계획이 잡혔으나 공항에 따른 여러 규제로 발이 묶이는 바람에 개발이 미진, 포항에서 가장 골치아픈 사업장이 된지 오래됐다.

동해면의 한 주민은 “그동안 쌓여있던 면민들의 불만들이 신제강 공장 재개와 맞물려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면서 “포항시나 도심 시민들은 포항발전 때문에 상대적 불이익을 받아 온 동해면민들을 이제는 돌아볼 때가 됐다”고 지적했다.

이재형 포항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국장은 “포항시에서 동해발전에 대한 용역을 의뢰한다고 하는데 고도제한이 강화된 상태에서 동해발전을 어떻게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면서 “발전가능성까지 박탈당한 격이니 동해주민이 반대하는 것은 당연하다. 지금껏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피해를 참아온 동해면 주민들의 입장을 시민 모두가 이해하고 더 이상의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끝>

/신동우기자 beat082@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