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종시인
우리나라 방송중 공익(公益)에 맞고, 방송의 제구실을 하는 곳이 EBS(교육방송)라고 평소 생각했다. 초·중·고학생을 대상으로 강의하는 강사중 몇 사람은 생뚱맞게 교육과 아무 관계도 없는 반국가적, 반사회적 돌출발언을 하여 얼굴을 찡그리게 할 때가 더러 있다. EBS 교육담당강사님들은, EBS는 대한민국방송이요, 인민공화국방송이 아님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불법적인 발언에 대해선 엄격하게 문책하면 되겠지만, 재판도 제 구실을 못할때가 많은게 우리 현실이다. EBS방송중 `한국기행`은 재미도 있고 참신한 기획이 돋보여, 본 방송만으로 직성이 안풀려 재방송에서 놓치지 않고 챙긴다. `한국기행`중 인상이 깊이 남는 곳은, 경북 예천과 울진편이다. 울진군편에서 2부 `왕피천 67.8㎞`와 4부 `가노 가노 언제 가노 십이령 옛길`편이 백미다. 울진군 북면 부구리 소재 `흥부장`에서, 60㎞ 상거의 봉화군 춘양장을 가는 열두고개-십이령 옛길에 조령성황사가 있는데, 조령(鳥嶺)은 문경새재와 같은 조령이라 자연스럽게 필자의 눈길을 끈다.

`열두고개`에 얽힌 지게부상(負商), `울진바지게꾼 노래`를 잠깐 들어보자.

“미역 소금 어물 지고 춘양장은 언제가노

대마 담배 콩을 지고 울진장을 언제가노

반 평생을 넘던 고개 이 고개를 넘는구나

서울가는 선비들도 이 고개를 쉬어 넘고

오고 가는 원님들도 이 고개를 자고 넘네

꼬불꼬불 열 두 고개 조물주도 야속하다

…(중략)

지게에 어물짐을 지고, 산고갯길 60㎞를 허위허위 걸어 춘양장 보러 가는데, 2박3일의 여정이다. 어물짐지게엔 취사도구인 솥까지 달려 있다. 산속 고갯길에서 밥을 지어먹고 주막에서 이틀밤을 지내고 백오십리 왕복에 3일이 걸리는데, 울진에 와서 되팔면, 3일간 수입이 쌀 석되나 된다고 한다. 요사인 엔간하면 하루벌이가 쌀 한말 버는 것은, 보통이하 벌이 밖에 안되지만, 지난날엔 장정 하루 품삯이 쌀1되다. 조선 효종때 조선에 표류한 하멜이 훈련원 군관으로 있을 때, 월급이 쌀 80근(48㎏)이었으니, 하루 쌀 1되씩 받았으니 당시 조선시대로 봐선 꽤 괜찮은 벌이였다. 조선시대 쌀 생산량은 논 한마지기에 쌀 여섯말(60되)이 고작이었다. 요사이는 한 마지기(200평)에, 보통 네가마(20말)가 생산된다. 조선시대엔 머슴살이하면 1년 새경이 쌀 3가마(15말)였다. 옛날사람들은 하루 쌀 1되를 벌기 위하여, 갖은 고생을 마다하지 않았다. 평소에도 고기 반찬에 쌀밥을 맘껏 먹어, 옛날 사람들 설날보다도, 요사이 사람들은 호강을 하고 있지만, 유족한 생활에 대해 고맙게 생각하는 사람은 한사람도 안보인다. 조선시대 사람들은 나날이 사는 삶이 고단해도, 부모형제에 대해 사람의 도리를 다했다. 인간다운 삶은 풍요에 있는 것만이 아니다. 오늘을 사는 우리는 풍족한 삶에 고마움을 알고, 행복의 터전인 이 나라와 이 땅을 진심으로 사랑할 줄 알아야 한다. 장정 하루 품삯 쌀1되를 받고, 더없이 행복해하는 조선시대 사람들이 복돼 보인다. 하루 쌀 20되이상 벌이를 하면서도 감사할 줄 모르는 사람들이 미득해보인다. 잘 살든 못 살든 인간으로 부족함이 없도록 배려하는 것이 진짜 행복하게 사는 길이 될 것 같다. 1959년엔 결혼부조가 쌀1되면 후한 편이었다. 그해 가을 작은 누나결혼식때 이웃집인 박시현 학형의 모친이 못살던 우리집 누나잔치에 쌀을 다섯되나 부조로 보내주신 것을 지금도 나는 잊지 않고 고맙게 생각한다. 세월이 흐르면 사람은 죽고 말지만, 생전에 끼친 선행은 길이 전해지는 것이다. 쌀1되가 하루 경제 생활의 대가였던 지난날을 우습게 여겨선 안된다. 선인들의 고생덕분에 후손들은 번영된 오늘을 누리게 된 것이다. 쌀한톨이라도 아껴, 모은 쌀을 외국에 수출하여 국가의 빚을 청산하도록 규모있게 가정살림과 국가살림을 유의해서 잘 살아야 한다. 후손에게 과도하게 빚(국채)을 물려 주는, 무책임한 선조가 되어선 안된다. 오늘 내 잘못이, 후손에게 멍애가 되어선 절대로 안된다. 명념할 부분이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