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9일 한수원 본사가 경주로 이전한다. 이는 경주 역사를 새롭게 쓴다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 그동안 이 공기업 이전을 두고 말도 많고 탈도 많았다. 그야말로 한수원 본사가 경주로 이전되기까지는 한편의 `드라마`라 해도 적절할 것 같다.

한수원 경주 이전 과정을 뒤돌아 보면 경주시민 간에 수 많은 `갈등`과 `고통`의 연속이었다. 잠잠하던 신라 천년고도 경주가 시내권과 원전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한 동경주로 나눠진 민-민 간 갈등 발생요인은 바로 `방폐장`이다. 정부는 원전 사업 도입 이래 부산물인 방사능폐기물을 처리할 시설을 갖추고자 부단한 노력을 했다. 그러나 정부가 이 국책사업을 시도할 때마다 해당 지역 주민들과 환경단체 반발로 인해 수많은 예산만 허비한 채 불발로 끝났다. 대표적인 사례가 전북 부안사태다.

이를 해결한 것은 바로 노무현 정부다.

지난 2005년 노 정부는 19년 동안 해결 못 한 방폐장 조성을 풀기 위해 `주민투표`라는 전대미문의 제도를 도입했다. 혹자는 이를 두고 `노무현 배 방폐장 쟁탈전`이라고 빗대기도 했지만 이는 노 정부가 이 문제를 풀기 위한 강력한 의지로 볼 수 있다. 이 결과 경주가 89.3%의 찬성률로 국책사업 방폐장을 유치하게 됐다. 그리고 방폐장 조성사업은 노 정부의 최대`치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경주시민이 이 국책사업을 유치하게 된 배경은 수십 년 간 침체된 지역 경제를 대형 국책사업을 유치함으로써 보탬이 되지 않을 까하는 열망 때문이었다. 특히 당시 경주시민이 방폐장 유치를 위해 `결속`한 것은 방폐장 유치에 따른 인센티브인 `한수원 본사 이전`이었기 때문이다.

한수원으로 말하자면 국내 전력산업의 선두주자다. 최근 원전 르네상스를 맞아 한수원의 주가는 최고치를 보이고 있으며 해외 원전기업과도 어깨를 견줄 정도로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이 경주로 이전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곰곰이 짚어 볼 필요가 있다. 한수원의 협력업체는 두산중공업 등 수천 개에 이른다. 따라서 한수원이 경주로 본사가 이전이 되면 이 협력업체도 당연히 경주로 이전하는 등 폭발적인 경제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밖에 인구난에 허덕이는 경주가 기업 종사자의 작업복 물결로 넘쳐 날것이며 이는 곧 인구증가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경주시민은 한수원을 경주 대표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사랑하고 한수원은 경주의 발전에 기여하는 선봉장역할을 해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