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동해안지역의 소국

`연오랑 세오녀가 왜 일본에 갔느냐?`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는 단서는 연오랑 세오녀에 대한 내용이 수록된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 찾을 수 있다. 삼국유사 기이 연오랑 세오녀 조에는“제8대 아달라왕(阿達羅王) 즉위 4년(서기 157년) 정유(丁酉)에 동해 바닷가에 연오랑과 세오녀 부부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연오가 바다에 나가 해조(海藻)를 따고 있는데, 갑자기 바위 하나가 나타나더니 연오를 싣고 일본으로 가 버렸다.” 이것을 본 그 나라 사람들은 “이는 범상한 사람이 아니다.” 하고는 연오를 세워 왕으로 삼았다. 세오는 남편이 돌아오지 않자 이상히 여겨 바닷가에 나가 찾다가 바위 위에 벗어 놓은 남편의 신을 찾아냈다. 세오가 그 바위 위에 올라갔더니 바위는 또한 전처럼 세오를 싣고 일본으로 갔다. 그 나라 사람들은 놀라 왕에게 사실을 아뢰었다. 마침내 부부가 서로 만나게 되어 그녀를 귀비(貴妃)로 삼았다.

글 싣는 순서

프롤로그
경북동해안지역의 소국
일본속에 숨쉬는 역사적 진실
`신화의 고향` 이즈모의 유적들
문화전파의 바닷길 있었나
에필로그

이때 신라에서는 해와 달이 광채를 잃었다. 일관(日官)이 왕께 아뢰기를,“해와 달의 정기(精氣)가 우리나라에 내려와 있었는데 이제 일본으로 가서 이런 괴변이 생겼습니다.”고 하였다. 왕이 사자(使者)를 보내서 두 사람을 찾으니 연오가 말하길“내가 이 나라에 온 것은 하늘이 시킨 일인데 어찌 돌아갈 수가 있겠소. 그러나 나의 비(妃)가 짠 고운 비단이 있으니 이것으로 하늘에 제사를 드리면 될 것이오.”하고는 사자에게 비단을 주었다. 사자는 돌아와서 연오가 한 말을 왕에게 사실대로 고했다. 그의 말대로 하늘에 제사를 드렸더니 해와 달의 정기가 전과 같이 되었다. 이에 그 비단을 어고(御庫)에 간수하고 국보로 삼았다. 그 창고를 귀비고(貴妃庫)라 하고 하늘에 제사 지낸 곳을 영일현(迎日縣) 또는 도기야(都祈野)라 했다. 이 신화의 내용은 크게 전·후반부로 나눌 수 있다. 앞부분은 연오랑과 세오녀 부부가 일본으로 건너가 그곳에서 왕이 되었다는 사실과, 뒷부분에는 일월의 정기를 회복하기 위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는 사실이 나타나 있다.

울진지역, 우중국 등 존재 확인

근기국 영역 추정지 발굴 조사

삼한 사회 생활이 소국의 모습

아달라왕 4년의 단서

그런데 서두에 “제8대 아달라왕 즉위 4년 정유(丁酉)에 동해변에 연오랑과 세오녀 부부가 살고 있었다” 라고 한 점과 뒷부분에 제사를 지냈다는 장소를 영일현 혹은 도기야라 명기하였다. 이는 연오랑과 세오녀가 일본으로 가게 되는 시대와 출발지를 분명히 밝히고 있어 연오랑 세오녀의 원류를 찾아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어떤 사정이 있어 일본으로 갔을까? 하는 의문을 풀어주는 첫째 단추는 “ 아달라왕 즉위 4년”이라는 연오랑 세오녀 부부가 살았다고 하는 분명한 연대에 있다. 바위(혹은 섬)를 타고 일본으로 간 일이 조난이 아니라면 의도적인 일이었을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

아달라왕 즉위 4년은 2세기로, 한반도 남쪽의 사정은 어떠하였을까? 한반도 남쪽에는 진(辰)사회 이후 마한(馬韓), 변한(弁韓), 진한(辰韓) 연맹체가 있고, 그 속에 각각의 소국(小國)들이 제 영역을 차지하고 있었다가 삼국의 모체가 된 소국들이 다른 소국들을 통합하여 강한 왕권과 큰 영역을 가진 백제, 가야, 신라의 삼국으로 재편되는 격동의 시기였다.

앞서 말한 진(辰) 사회에서는 고조선 사회의 변동에 따라 대거 남하해 오는 선진 철기 문명을 가진 이민족에 의해 새로운 문화가 보급되어 토착민이 가진 문화와 융합되면서 사회가 더욱 발전하였다. 그리하여 소국 성립의 여건을 갖춘 각 지역에 소국들이 형성되고 마한, 변한, 진한의 연맹체들이 나타나게 되었던 것이다.

연맹체 중 마한은 54개 소국으로 이루어져 현재의 천안, 익산, 나주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경기, 충청, 전라도 지방에서 발전하였다. 변한은 12개 소국으로 이루어졌으며 김해, 마산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진한도 12개 소국으로 대구, 경주 지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넓혀 나갔다.

고조선 사회변동… 대거 남하

마한·변한·진한 연맹체 형성

이민족들, 선진 철기문명 보급

삼한 소국들에 대한 국명(國名)이 나타나는 사료는 중국 사서(史書).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등이다. 그런데 내용에서는 소국의 이름만 있을 뿐 위치에 대해서는 설명을 하고 않고 있어 소국의 위치를 모두 확인할 수는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삼국 재편의 격동시기

진한의 12개 소국 중에서 동해변에서 존재가 확인되는 소국으로는 울진지역에 `우중국(優中國) 또는 우유국(優由國), 포항지역에 근기국(勤耆國)이며, 이 사료에는 수록되지 않았지만 삼국사기나 전승되어 오는 소국 이름 중에서는 우시군국(于尸郡國·영해지역), 다벌국(多伐國·흥해지역), 초팔국(草八國·기계지역) 등이 있었다. 이 중에서는 근기국의 영역이라고 추정되는 마을 유적들이 최근에 발굴 조사되어 근기국의 국읍(國邑 )확인에 한발 다가서고 있다.

삼한 사회의 생활이 곧 소국들의 생활모습이다. 삼한에는 정치적 지배자 외에 제사장인 천군(天君)이 있어 제정(祭政)이 분리된 사회였다. 소국의 일반 사람들은 읍락(邑落)에 살면서 농업과 수공업의 생산을 담당하였다. 초가지붕의 반 움집이나 귀틀집에서 살면서 공동작업을 위하여 두레 조직이 있었으며, 씨를 뿌리고 난 뒤와 추수기에 계절제를 열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특히 삼한 사회는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농경사회였다. 철제 농기구의 사용으로 농경이 발달하고 벼농사를 지었다.

이와 같은 철기 시대 후기의 문화 발전은 삼한 사회의 변동을 가져왔다. 진한에서는 사로국이 성장하여 중앙 집권 국가의 기반을 마련하여 신라의 기틀을 다져나갔다.

이러한 시기 소국 병합이라는 대 소용돌이는 근기국에도 닥쳐왔고, `근기국 도기야`에 살고 있었던 연오랑 세오녀 부부는 이시기에 일본으로 이주해 간 것이 아닐까? 그곳에서 선진 철기문명을 전파한 것이 아닐까? 연오랑 세오녀가 건너간 바닷길은 철의 루트인 것이다. 이 내용은 지금 단정지어 말 할 수는 없다. 다만 시대적 배경을 설명하고 있을 뿐이다. 꾸준한 연구와 규명이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이다.

한국인들이 동해를 건너 일본으로 간 사람들은 많이 있었다. 이미 서기 전 3~2세기에 고대 한국인들은 일본 서부로 이주하여 농경민으로 정착하였다. 이들은 일본 원주민들에게 철제 기구의 사용과 논농사를 포함한 새로운 농업 기술을 선보이면서 한곳에 모여 살았는데 이는 곧 자치현(自治縣) 내지는 왕국(王國)의 규모로 발전하였다고 한다.

이어 한반도에서 삼국이 형성되는 과정에 빈번한 전란이 벌어지곤 했으므로 이 영향을 받아 고대 한국인들이 점차 일본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서기 2세기에서 6세기에 걸쳐 한반도에는 백제, 신라, 고구려가 입지를 굳히며 점점 강력한 국가를 만들어 가는 동안 일본에는 수많은 고대 한국인들이 건너갔을 것이며, 건너간 이후에도 이들은 본국인 한반도와 지속적인 관계를 맺어 왔다.

건너간 바닷길은 철의 루트

1819년에는 경북 울진군 평해읍에서 출발한 상선 한 척이 난파되어 시마네 현 인근인 돗토리 현의 아카사키 앞바다로 표류해 간 사건도 있었다. 난파선을 발견한 돗토리번 아카사키 번소는 이들을 잘 대접하고 배를 고쳐 평해로 되돌려 보내주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2세기 가까이 구전되어 내려오다 1991년 돗토리현립도서관에서 안의기 선장 등 12명의 선원을 그린 족자가 발견되어 사실임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일본신화에 대하여 가장 잘 알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문헌은 고사기(古事記), 일본서기(日本書紀), 그리고 풍토기(風土記)를 들 수 있다. 이들 책 속에는 신라 사람들이 동해를 건너 일본에 간 사실들이 숨어 있다.

고사기 상권에는 “하늘나라(高天原)에서 신라땅(牛頭山)으로 내려왔다가 배를 만들어 일본땅으로 건너간 스사노오노미고토 신화” 가 있다. 스사노오노미고토가 하늘에서 내려와 신라에 머물다 이즈모로 건너왔다는 극적인 신화는 동해를 건너온 많은 사람들의 이주(移住)사실이 있었음을 알려주는 것이기도 하다. 일본서기 등에서 신라 왕자 천일창(天日槍·아메노히보고)이 일본에 건너가서 그곳에서 정착했다는 사실은 그 시기에 한반도의 세력이 일본열도로 이동한 사정을 반영한 것이 된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지금까지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문화가 건너간 바닷길로 중요시되어 주목을 받아 오던 곳은 대마도(對馬島)와 규슈(九州)를 거쳐 일본 내해를 통해 야마토의 본거지인 나라에 이르는 코스지만, 이에 못지않게 신라에서 바로 동해를 건너 일본의 이즈모 지방으로 가는 훨씬 가까운 거리인 해로를 통해서도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졌다는 점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포항의 맞은편에서 동해를 안고 있는 일본의 서쪽 이즈모시(出雲市). 그 해변에는 한국에서 해류를 따라 떠내려간 물건들이 자주 발견돼고 있어 지나간 고대에도 이런 해류를 타고 두 지역 간에 활발한 교류가 있었던 것임을 지금도 대변해 주고 있는 것이다.

/이즈모시에서 김용우 포항시사편찬위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