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고령화 속도가 다른 어떤 국가들에 비해 6배 이상 빠를 것이라는 전망 또한 이제 우리에게 익숙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노후대비는 더디게 진행될 뿐 아니라 그 준비 정도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더불어 그 누구도 은퇴 이후에 저소득층으로 전락하는 것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 66세 이상 고령인구 가운데 약 51%가 은퇴 후 저소득층으로 추락하게 된다는 `저소득층 비율` 결과 앞에 `나는 그렇지 않은` 49%에 해당할 것이라는 안일한 기대로 일관할 것인지 생각해 볼 문제이다.

우리보다 앞서 노후대비연금제도가 자리 잡은 국가들을 보면 국가(국민연금)-기업(퇴직연금)-개인(개인연금)의 3층 구조로 연금제도를 구성하고 있다.

2010년 확대 도입되는 퇴직연금이 정착되면 우리도 이와 같은 3층 구조를 갖게 된다.

하지만, 그 현황을 살펴보면 결코 안심할 수가 없다.

기업을 통해 준비하는 퇴직연금은 언급한 대로 이제 도입 초기에 지나지 않는다.

국민연금은 이미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앞으로의 은퇴 계획표에 따르면 2043년 2천464조원을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2060년 그 재정이 완전히 고갈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대적인 국민연금 구조개혁이 이뤄지지 않는 이상, 지금의 20~30대는 국민연금 수령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공적 구조의 변화에 영향받지 않고 준비할 수 있는 것은 개인연금뿐이다.

만약 3층 구조 중에서 다른 2개 구조 즉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에 문제가 생긴다면 이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반대로 2개 구조가 잘 준비된다면 풍요로움을 약속받을 수 있는 장치가 되는 것이 바로 개인연금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개인연금을 취사선택의 문제로 볼 것이 아니라 당위성으로 고려해야 한다.

은퇴 후 저소득층으로 전락할 51%가 되지 않도록 개인의 힘으로 할 수 있는 노력은 바로 개인연금을 준비하는 것이다.

<계속>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