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사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되면서 오는 6월 지방선거의 열기가 달아오르기 시작했다. 최근 언론매체 마다 기존의 지방 선출직과 도전자들의 면면을 다루고 장단점을 비교하는 기사들마다 공통적으로 연령의 노소가 빠지지 않고 있다. `고령인 것이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식으로 요약되는 이러한 연령 비교는 엄밀히 따지면 그리 바람직한 접근법이라고 볼 수는 없다.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에서 나아가 초고령화까지 거론되는 데다 과학과 영양의 발달로 노년층의 활력이 인류 역사상 최고조에 이른 마당에 나이가 문제된다는 논리는 허점이 많기 때문이다. 오히려 노년층의 풍부한 경륜과 특유의 조정력이 복잡다단하게 얽힌 지방자치의 이해관계를 풀어내는데 훨씬 더 효율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나이를 기준으로 정치인의 경쟁력을 거론하는 사회분위기는 노년층에 상실감을 주고 집단적 인권침해의 부작용도 있는 만큼 반드시 개선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유권자들이 정치에 염증을 느끼고 지방선거 참여율을 낮추는 배경에는 상호 비방 등 이전투구에 익숙한 구시대적 정치꾼에 대한 뿌리 깊은 혐오가 자리 잡고 있다. 연령이 상대적으로 낮은 예비후보라도 특정 정당의 공천을 위해 국회의원에 대한 줄 대기에 몰두하고 있다면 구시대적 낡은 정치인으로 볼 수밖에 없다. 우리가 아직도 한국정치가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이유는 구태의연한 정치와의 고리를 끊고 새로운 사유와 미래의 비전으로 무장해 유권자들의 가슴을 파고 드는 청년들이 있기 때문이다. 나이와 상관 없이 정치판에 새 바람을 몰고 온 일군의 정치인들이 보수 정치판에 몰고 온 충격파는 이른바 `386세대`의 퇴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민들의 호감을 받고 있다. 특히 특정 정당의 공천이 당선의 보증수표나 다름 없는 한국 지방정치의 현실은 중앙의 예속에서 벗어나 지역민의를 대변할 역량 있고 참신한 청년 정치인의 육성 필요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훌륭한 비전을 가진 이들이 구시대 정치와 그 인사들이 짜 놓은 이른바 `주류 사회`의 질서에 속박돼 꿈을 펴기가 어렵다면 우리 사회의 발전 속도는 그만큼 떨어질 수밖에 없다. 청년정치인들도 이러한 우리 사회의 기대에 맞춰 상대편을 싸잡아 매도하고 보혁 규정에 집착해 노소(少)가 화합하는 우리 사회의 미풍양속을 해쳐서는 안될 것임을 명심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