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방사성폐기물(이하 방폐물)이 관계기관간의 알력으로 갈 곳이 없다.

특히 울진원전의 경우 방폐물 저장시설이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월성원전도 내년 초에는 같은 상황에 이를 것으로 관측되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한국방폐물관리공단은 경주시 양북면에 건립되는 방폐장 완공에 앞서 인근에 방폐물 임시인수저장시설(보관량 6천 드럼)을 지난 6월에 건립했다.

인수저장건물, 폐기물 건물, 지원시설 등 9개 동인 이 시설은 당초 7월1일 부터 시범운용키로 했다.

이 시설이 가동할 경우 울진원전을 비롯 월성, 고리 등 국내 4개 발전소에 보관중인 방폐물을 이 곳으로 옮기게 된다.

그러나 이 시설이 건립된지 4개월이 지나도록 교육과학기술부와 경주시 등 관계기관의 인·허가가 지연되면서 활용조차 못 하고 있다.

인허가 및 승인 지연 이유로 교과부 측은 인수저장시설 면적 변경 등을, 경주시는 안정성 및 상급기관 교과부의 우선 승인을 각각 내세우는 등 두 기관이 `핑퐁식`으로 떠넘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경주시의 이 같은 입장은 방폐장 유치에 따른 정부지원 사항인 양성자가속기 사업비 국비지원, 유치지역지원사업비 확보 등 정부에 대한 불만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런 가운데 울진원전의 방폐물저장시설이 포화 상태에 이르러 초비상이 걸렸다.

울진원전의 경우 6기의 원전이 가동되어, 년간 1기당 200드럼의 방폐물이 발생된다.

그러나 임시저장시설 규모는 1만7천400드럼으로 저장시설이 포화상태가 되자 방폐물을 발전소 내 여유공간에 임시야적하고 있다.

또, 저장규모 9천 드럼인 월성원전도 조만간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관계기관의 방폐물 처리에 대한 업무 협조 지연이 장기화될 경우 원전 인근 주민들은 물론 환경단체에 또다른 `쟁점`을 제공할 우려마저 있다.

이와 함께 원전 인근 주민들은 방폐물 운반선 운용과 관련해 항로지정 요구, 한정어업권 요구 등 이해 관계에 따른 각종 민원을 봇물같이 쏟아내고 있다.

경주 방폐장은 단계적으로 총 80만 드럼 저장 규모로 건설되며,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1단계 시설은 10만 드럼 규모다.

/윤종현기자 yjh0931@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