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테크노밸리(T/B) 조성 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 사업비 보증 방침을 밝히자 지역의 손익 계산이 한창이다. 포항시가 지난 20일 포항시의회 간담회에서 전체 사업비 4천370억원 가운데 금융권의 대출자금 1천206억원에 대해 문제가 생기면 대신 갚겠다고 한 것이 계기다. 포항시는 그 근거로 사업이 계속 지연되고 있기 때문임을 밝혔다.

실제로 포항T/B 조성은 지난해 말 착공할 계획이었지만 올해도 넘길 지경임을 고려하면 포항시의 입장이 과장은 아님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포항시는 포항시의회의 신중론 대로 단지 조성 후 산업용지와 아파트용지의 분양이 되지 않을 가능성을 철저히 재검토해야 한다. 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에 몸서리 친 금융권이`고위험, 고수익`전략을 경계하고 포항시에 버티기 협상을 고수하는 배경은 단순한 협상 전술이 아닌 사업성 검토에 따른 선택임을 알기는 어렵지 않다. 이런 점에서 포항시가 최악의 사태가 올 경우 1천206억원을 갚아주더라도 83만평의 부지가 발생한다는 설득은 시민의 입장에서 납득하기가 어렵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 포항T/B 부지가 얼마나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가란 점에 있다. 도시계획전문가들은 이미 부지 내에 산업용 면적에 비해 주거용이 지나치게 넓게 배정된데 대해 계속 우려를 나타냈다.

이는 포항시가 얻을 배당수익을 높게 잡기 위해 용역사가 제시한 결과이지만 결국 높은 분양가는 사업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소인 점을 알아야 한다. 특히 포항에는 지금 국가산단인 블루밸리 조성이 보상단계에 접어 들었으며 시 경계만 넘어서면 신설된 경주 강동 일반산단이 고객들을 유혹하고 있다.

포항시가 T/P 1단지 기업의 공장을 인접지에 유치하겠다는 전략은 더 빨리, 더 싼 용지를 물색하는 CEO들에게 외면받을 수도 있다.

4천995세대를 계획한 아파트부지의 경우 더 심각하다. 포항엔 미분양 사태가 심각한데다 조성해놓은 도시개발지구가 넘쳐 난다. 이러면 생태산업단지라고 하기 어렵다. 1조원대의 시 예산에서 도로교통이 1천400억여원, 복지가 2천억여원인 점을 고려하면 1천206억원을 날릴 수 있다는 우려는 단순한 교각살우가 아니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