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관절 질환의 증상은 특별한 외상이 없거나 경미한 외상 후에 어깨관절 부위에 둔통이 시작돼 서서히 통증이 심해지면서 관절 운동에 제한이 나타난다.

관절 운동은 전방 거상, 외회전 및 내회전이 모두 제한되며, 서서히 진행해 차차 일상 생활이 크게 불편해지고 여러 각도의 수동적 운동 시 심한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이와 유사한 증상으로 회전근개 질환을 들 수 있지만, 이는 별도의 운동에서만 통증을 보여 서로 구분할 수 있다.

손을 들어 머리 빗질을 하기 어렵다든지 세수 하기가 힘들어진다는 식이다. 오십견 초기에는 회전근개 질환과 구별이 안 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심하게 구축이 된 경우에는 상완 관절 운동은 전혀 없이 견관 흉곽 운동만 일어나 `덜컹` 거리면서 움직이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우리가 보통 어깨 유착성 피막염 또는 오십견(frozen shoulder)이라 부르는 질병은 어깨 관절 주머니 아래 부위가 달라붙어서 어깨 운동이 제한받고, 심한 통증이 나타나는데, 특히 밤에 통증이 심해서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주로 50대 이후에 특별한 원인 없이 생기는 특징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인데, 최근에는 심한 스포츠로 인해 젊은 연령층에서도 많이 생기며 팔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이나 주부에게 많이 발생하고 있다.

어깨 관절 검사 방법으로는 방사선 촬영과 초음파 검사에서 팔을 벌릴 때 어깨 근육이 관절낭에 들러붙어 보이는 특이한 소견이 보이며, 임상적으로 간단히 오십견으로 진단돼도 류머티스성 관절염, 골성 관절염, 석회성 건초염 등을 쉽게 놓치는 경우도 있다.

MRI 등 특수 검사에서는 관절막이 두꺼워져 있으며 관절경으로 관찰하면 관절강이 좁아져 있으나 출혈된 활막과 젖꼭지 모양의 증식을 보인다.

치료는 대부분 1~2년 이내에 자연 치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부에서는 충분한 기간이 경과해도 심한 통증과 상완 견갑 운동이 제한되기도 한다.

이때는 수동적 관절 운동을 통한 관절 회복이 유효하다. 운동이 통증을 유발하는 초기에는 일정 기간 휴식을 취하는 것이 도움되지만 어깨관절의 통증을 심하게 유발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가 운동 치료 방법을 통한 수동적 관절 운동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동적 관절 운동은 따뜻한 물 찜질 후에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손가락으로 벽 걸어 오르기, 막대를 이용한 운동과 간혹 통증이 심하면 운동 치료에 병행해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후 6개월 이상 지나도 심한 구축과 통증이 지속되면 수술 요법이 필요한데 관절경으로 쉽게 박리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개방술을 통해 완전 관절낭 박리술을 시행할 수 있다.

관절경술은 관절 강내 동반된 병변을 관찰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기도 하다.

아직 어깨 유착성 피막염, 즉 오십견을 예방하기 위한 뚜렷한 예방 기준은 없으나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것은 일상 생활에서 피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당뇨병이 있는 경우 5배 이상 위험이 증가하며 양측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고 어깨관절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