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위기론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박승호시장 취임한 후 가파른 상승곡선 분위기는 이명박대통령의 당선으로 최고조에 달했다. 포항을 비롯한 경북도는 변방에서 소외받는 처지에서 중앙으로 나가는 변화된 힘을 실감하기도 했다. 그러나 전세계적인 경제위기론이 겹치면서 포항경제발전도 성장동력이 떨어지는가 싶더니 일각에서는 다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포항의 위기론의 실체와 대책에 대해 집중점검한다. <편집자주>

인구 감소를 근거로 한 `포항 위기론`이 한창 논란의 불씨를 당긴 시점은 6·13지방선거를 앞둔 지난 2002년 상반기였다.

당시 2000년에서 2001년 사이에 포항시 인구가 674명 감소되자 포항의 성장이 멈췄다는 우려들이 잇따랐으며 실제로 2001년 6월말 51만7천231명에서 연말에는 51만3천424명으로 인구감소가 이어졌다. 포항시에 따르면 지난 8월말 현재 인구는 50만9천121명에 이른다.

포항인구가 다시 회복세를 보이는 바탕에 박승호 시장이 가장 큰 기여를 했다는데 대해 별다른 이견은 없다.

박 시장은 왕성한 추진력으로 영일만항 일대에 대한 기업 유치에 나서 MOU 체결이 이어졌으며 동해중부선 철도 착공, 영일만개항 등의 성과를 내고 있다.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취지 아래 중앙상가에 실개천을 조성하고 동빈내항 복원사업도 진행 중이다. 2008년 취임한 이명박 대통령의 고향 도시 시장으로서의 수혜도 얻고 있으며 영일만대교도 그 연장에 있다.

하지만 포항시는 지난 2006년 출범한 박승호 시장 체제 이후의 가시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최근 불안한 조짐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MOU(투자양해각서) 체결 기업의 유치가 무산된 일은 그 대표적 사례들이다. 지난해 8월 포항시와 MOU를 체결한 에너지리소스는 5천억원을 투입해 2011년까지 청하면 일대에 폴리실리콘 생산공장을 짓겠다는 당초 계획을 지난 6월 포기했다. 또 현대중공업은 2년전 영일만항 인근 27만여㎡에 선박블럭공장을 조상하기로 MOU 체결했으나 지난 8월 백지화했다. 또 인근 14만여㎡에 조선기자재 생산공장을 짓는다는 태창철강도 지난 7월 사업을 포기했다.

결국 이 같은 잦은 MOU 체결 및 번복은 국제적 불황의 여파로 인한 불가피성이 인정되는 한편에서 포항시의 신뢰와 권위를 실추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포항시의 기업 유치 의지도 곳곳에서 의심받을 만한 사례를 내고 있다. 민간기업이 남구 대송면 일대 300만여㎡를 개발하는 그린일반산단 조성사업도 일부 주민의 민원으로 무산 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당시 박 시장은 `주민들이 반대하면 안 하겠다`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선거를 의식한 발언이라는 빈축을 사기도 했다. 반면 경주시는 포항과 경계지인 강동면 왕신리 일대에 대한 민간의 일반산단 조성사업을 적극 지원해 천북 공단처럼 공장난에 시달리는 포항의 중소기업들을 유치하는 반사이익을 얻는 등 대조를 보이고 있다.

이상득 의원이 성사에 공을 세운 남구 동해면 일대 국가산단도 당초 계획 보다 면적이 25%나 줄어든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영일만항 인입선 철도, KTX 포항 노선 등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결과도 당초 발표 시점을 거듭 연장하고 있어 불안한 전망들이 이어지고 있다.

홍철 대구경북연구원장은 “포항은 포스코와 포스텍, 포항산과연(RIST) 등의 인프라에 충실한 바탕 위에서 각종 시책을 추진해야 옳다”면서 “하지만 최근 이들 주요 성장동력과 포항시의 공조에 균열이 나타나고 차세대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활발한 시도가 부족한 점은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재현기자 imjh@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