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은행들이 부실 우려가 있는 1천400여 개 중소기업의 옥석을 가리기 위한 세부평가에 착수한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채권은행들은 2차 신용위험평가 대상인 1만789개 중소기업에 대한 기본평가를 실시해 1천461개사를 세부평가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번 2차 신용위험평가대상에는 여신규모 30억 원 이상 50억 원 미만인 8천630개사와 함께 여신규모 50억 원 이상 500억 원 미만을 대상으로 한 1차 신용위험평가에서 세부평가 대상(861개사)으로 선정되지 않았던 6천988개사가 포함됐다.

채권은행들은 3년 연속 영업현금흐름 적자,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미만 등 재무적요인과 올해 중 연체 및 압류 발생, 당좌계좌 한도 80% 이상 소진 등 질적요인을 고려해 세부평가 대상을 분류했다.

금감원은 1차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때는 질적요인을 고려하지 않아 당시 세부평가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업체들을 재평가했다고 설명했다.

채권은행들은 이번 세부평가 대상 업체의 부실화 가능성을 정밀 평가해 다음 달 말까지 A등급(정상), B등급(일시 유동성 부족), C등급(워크아웃), D등급(법정관리)으로 구분할 계획이다. A, B등급 업체는 유동성 지원을 받지만 C, D등급은 구조조정 대상이 된다.

은행들은 1차 신용위험평가에서 C등급 판정을 받은 77개 중소기업에 대해 워크아웃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미 9개사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을 개시했다. 여신액이 주채권은행에 집중된 27개사는 주채권은행 단독관리방식으로, 여러 은행에 여신이 분산된 8개사는 공동관리 방식으로 워크아웃이 추진된다.

주채권은행 여신비중이 70% 내외인 36개사는 사전공동관리 방식이 적용된다. 사전공동관리는 지난 7월 채권은행 협약을 개정해 도입한 제도로 주채권은행은 다른 채권은행과 사전협의 없이 워크아웃을 개시할 수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