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에 일자리를 제공하고자 지난 6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희망 근로사업의 불똥이 공무원들에게 튀자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희망 근로 프로젝트를 계획한 중앙정부는 저소득 가구의 일자리창출 및 생계 지원과 지역 영세상인의 매출을 증가시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꾀한다며 임금의 30%를 지역에서 유통될 수 있는 상품권으로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일선 자치단체들이 현금 보유를 선호하는 희망근로자의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 공무원과 지역단체, 기업체를 대상으로 상품권 구매운동을 유도하자 그 직격탄을 고스란히 공직사회가 맞고 있다.

경산시의 경우 지난 7일 현재 1천159명의 희망근로자가 임도 및 등산로 정비사업 등 20개 사업에 참여해 한 달 24만원의 상품권을 지급받고 있다.

시는 오는 11월까지 15억4천400만원의 상품권을 지급할 예정이며 희망근로자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발행금액의 3분의 1 수준인 5억900만원의 상품권을 공직사회와 사회단체에서 구매한다는 방침.

그러나 자발적인 상품권 구매 권장이 구매금액을 결정한 강제성을 띠며 각종 행사의 티켓구매 형태로 이용되고 있어 공직자들의 불만이 높다.

경산시는 이·통장 5만원과 5급 이상 공직자 10만원, 6급 이하 공직자 5만원의 상품권을 오는 11월까지 매월 구입토록 결정했다.

경북도내 일선 자치단체들도 희망근로 상품권 사주기 운동을 벌이고 있으나 공직자들의 대다수는 강매로 받아들이고 있다.

구미시는 지난 7월말 현재 2천96명이 희망근로에 참여, 총 급여 18억4천여만원 가운데 4억7천900만원의 상품권이 지급됐고 구미시청 직원들이 5천60만원의 상품권을 구입했다.

영주시 공무원들은 희망근로자에게 발급된 상품권 1억3천만원 중 3천여만원, 안동시 공무원들은 2억4천여만원 중 806만여원 어치를 사준 것으로 나타났다.

경산시의 공무원 A씨(34)는 “희망근로자와 공직사회 등 모두에게 손해를 끼치는 상품권 발행에 정부가 목을 매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지금 희망근로에 나선 이들 대부분이 청년실업자보다는 노년층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들이 과연 현금을 다른 지역에까지 이동해 사용하겠는가”라고 반문하며 공직사회를 중앙정부의 봉으로 인식, 무조건적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고 항변했다.

/심한식기자·2사회부 종합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