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4일 전격적으로 방북함으로써 오바마 정부 출범 이후 돌파구를 찾지 못했던 북·미 관계는 물론 한반도를 비롯한 국제정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미 정부 당국자들은 그의 방북이 지난 3월 이후 북한에 억류돼있는 미국 여기자 2명의 석방을 위한 `개인적 방북`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그가 상징하는 정치적 위상을 감안할 때 극적인 변화의 모멘텀이 조성될 것으로 외교가는 보고 있다.

특히 과거 재임시절 북한과 제네바 협상을 하고 북·미 공동성명을 발표하는 등 북한과의 관계정상화에 적극 나섰던 클린턴 전 대통령을 평양에 초청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중대한 제안`을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외견상으로 보면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은 제1차 핵위기가 고조되던 1994년 6월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전격 방북과 유사하다. 카터 전 대통령 방북 당시처럼 북·미간 대결국면이 협상국면으로 전환될 것인지는 두고 볼 문제다.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 이후 미국과 북한은 새로운 국면에 맞는 새로운 협상을 시작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이 경우 부시 행정부 시절 운영됐던 북핵 6자회담이 다시 가동할지, 아니면 새로운 협상틀이 출현할지는 향후 북미간 협의 과정에서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미국 정부가 그의 방북을 철저하게 `여기자 문제 해결을 위한 개인적 방문`으로 규정할 가능성이 큰 만큼 약간의 시간차가 생길 가능성은 있다. 이 경우 미국 측은 한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의 협의를 강화하면서 명분을 쌓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과정을 거칠 경우 본격적인 북·미 협상은 9월 이후에 이뤄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가능성이 크진 않지만 북한이 클린턴 전 대통령을 불러놓고도 `원하는 결과`를 내놓지 않을 경우 북·미 관계가 오히려 악화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무게감은 떨어지는 상황이다.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으로 남북관계도 중대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과거 1994년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을 통해서도 북미 관계의 개선뿐만 아니라 김일성 주석의 전격 제안으로 남북 정상회담이 합의되는 등 남북관계도 극적인 돌파구가 마련됐었다.

과거 북·미관계 해빙을 상징했던 클린턴 전 대통령이 `남북관계의 개선`을 북측에 강력히 촉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린턴 전 대통령이 한국의 핵심 대북 현안인 개성공단 근로자 유모씨 억류 문제의 조기해결을 촉구하고 북측의 긍정적 대답을 끌어낼 경우 유씨 문제에서부터 남북관계에 돌파구가 마련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