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교육감 선거는 교육감 선거에 득이 될까. 독이 될까.

올해 초 치러진 경북도교육감선거 재보궐선거에서 나타난 것처럼 당조직 등을 활용할 수 없는 도교육감선거는 경북도 전역을 아우르면서 후보자들이 자신의 공약 등을 알리는데 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

이에따라 차기 교육감선거는 공천을 받는 광역단체장과 함께 비공식적인 연대 양상도 배제할 수 없으로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정가에 따르면 현행 법규상 지방선거는 정당 공천을 받고, 교육감선거는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등 별개로 선거를 치러야 하지만, 같은 날 동시에 투표하는 것인 만큼 `러닝메이트` 제도처럼 운영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내년 6월 치러지는 지방선거는 광역ㆍ기초단체장, 광역ㆍ기초의원, 광역ㆍ기초의원 비례대표, 교육감, 교육위원 등 총 8개.

사정이 이렇다보니 경북도지사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확정되면 일부 교육감후보는 선거법에 저촉되지 않은 한에서 공통된 공약 등을 내세울 경우 도교육감선거는 타후보에 비해 비교우위를 점할수도 있다는 것.

반면 도지사후보에게는 공동의 선거를 할 경우 교육감후보가 마음에 들어 선택하는 유권자도 있는 반면 반대의 경우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 그러나 여전히 교육이라는 부분은 지방선거에 있어 큰 메리트로 광역단체장도 이를 놓칠수 없는 만큼 교육감선거 관심이 높아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기에다 교육감선거는 정당기호와는 달리 가나다순으로 기호를 매기게 돼 있어 여당, 또는 야당과 비공식적인 연대를 하고 있는 후보와 혼란이 빚어질 가능성도 배제 할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정치권에서는 광역단체장선거후보 보다는 교육감선거후보가 공조체제를 더욱 선호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지면서 교육감에 대한 관심도도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7년부터 교육감 직선제가 실시됐지만 그간 실시된 교육감선거의 투표율은 20%에 불과했다. 유권자의 교육에 대한 관심은 크지만 교육감선거만으로는 관심을 끌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번부터 지방선거와 같이 치러지면서 교육감 후보에 대한 관심도가 커지고 검증도 철저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준택기자 jtlee@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