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체제 개편 논의 본격화… 희망 보인다”

`경산시` 고유 명칭·지자체 독자기능 보장 전제돼야

정치권 등 각계각층 추진위원 260여명 활발한 활동

정치권에서 행정체제 개편 논의가 본격화되며서 경산·대구의 통합을 줄기차게 주장해온 송세혁(74) 경산·대구 통합추진위원회 공동대표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경산은 지난 1981년 7월 지역의 일부인 고산면(시지) 지역과 안심읍(반야월) 지역을 대구광역시 승격과 함께 대구시에 편입시켰던 아픔이 있으며 자녀의 교육을 위해 시지지역으로 위장전입을 하는 학부모가 증가하는 사례도 있었다.

교량 하나와 경계선을 경계로 대구광역시와 경북도로 나뉘는 경산은 대구와 통합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었지만 실제 이익과 반사 이익 사이에서 고민하던 정치권과 행정권의 관망으로 쉽게 관철되지 못했다.

정치권이 어떤 결과를 도출할지는 모르지만 경산·대구 통합을 위한 노력과 전망 등을 송세혁 공동대표에게 들어 보았다.

-경산·대구지역 통합 추진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으며 추진 이유는.

▲통합추진은 지난 1994년부터 시작되었다.

경산과 대구는 역사적으로나 지리적 같은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고 팔공산과 금호강을 함께 끼고 살아온 동질성과 일체감이 있다.

94년 경산시의회와 군의회는 대구광역시로 편입되면 지역 경제 및 개발, 교육, 교통 등 여러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과 개선이 기대된다며 경산시란 고유 명칭을 가지고 자치단체의 독자적인 기능수행을 보장하는 전제를 가지고 대구시 편입을 희망하는 견해를 정부와 국회 등에 전달했었다.

현재는 대중교통이 서로 무료 환승을 하며 대구지하철 2호선의 경산연장공사가 진행 중이고 1호선의 하양 연장이 추진되는 등 경산과 대구는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이고 있다.

-통합추진위원회에는 어떤 분들이 활동하고 있는지.

▲260여 명의 추진위원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어느 지역에 편중된 것이 아니라 고른 지역을 대표하고 있다. 대표적인 인사는 윤영조 전 시장을 비롯해 성재영, 최기환, 이영교, 김경윤, 임채열 씨 등이 공동대표로 활동하고 있으며 많은 독지가가 통합을 바라며 후원에 나서고 있다.

-지금까지 가시적으로 나타난 성과가 있다면.

▲지역적으로 나타난 것은 없다.

그러나 정치권의 행보는 남다르다. 지난 2005년 11월 8일 국회가 행정구역체제개편 특위 첫 회의를 열고 `시·도-시·군·구-읍·면·동`의 3단계 행정구역체계를 광역단체-실무행정단위의 개편한다는 큰 원칙을 세웠지만 실현되지는 못했다.

이제 다시 행정구역체제개편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가 계속된다면 대구와 경산의 통합은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또 최경환 국회의원이 지난 2004년 17대 총선에서 경산과 청도, 대구를 통합해 교육과 문화, 과학이 중심이 된 에쿠스시티 건설을 공약으로 당선돼 재선의원으로, 실세의원으로 의정 활동을 하고 있으니 지역민의 민심을 외면하지는 않으리라 본다.

- 반대 의견도 있다. 이 반대 의견은 어떻게 수용할 것이며 앞으로의 계획은.

▲어느 의견이나 일에 대해 100% 찬성은 있을 수 없다. 경산·대구의 통합은 지역민의 80% 정도는 찬성하는 입장이라고 본다. 이는 매일신문이 지난 2005년 6월 `대구·경북 경계인`을 주제로 칠곡군과 경산시, 영천시, 성주군, 청도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대구 편입에 대한 전수조사에서 경산은 77.4%가 찬성했다.

민주주의는 다수 의견이 존중받는 사회이다. 몇 년의 세월이 흘렸지만, 경산시민은 대구와의 통합에 찬성하고 있다는 생각은 변함이 없다. 자신과 의견이 합치되지 않아도 다수 의견을 존중하리라 본다.

경산지역은 독자적인 권역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대중교통을 포함해 문화·상권이 대구시에 예속되거나 막대한 영향권 안에 있다. 그럼에도 행정적인 경계로 분리되어 경제적인 면이나 교육, 문화에서 누려야 할 권리가 박탈되고 있는 느낌이다.

행정구역체제개편에 나선 정치권이 결론을 도출하지 못한다 하여도 경산·대구의 통합은 지속적으로 추진될 것이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