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생활쓰레기 줄이기가 정착단계에 들어설 때도 된 것 같은데 아직도 멀게만 느껴지는 것은 필자만의 안타까움인지 모르겠다.

필자는 시의회 의원이 된 7년의 의정 활동을 청소행정에 중심을 뒀다. 시민들의 눈에 확띄는 대형프로젝트보다는 작지만 주부는 물론 일반 시민이 직접 실천해 옮길 수 있는 일인 청소행정에 의정 활동의 초점을 맞췄다.

그동안 필자는 국내외 타도시의 쓰레기처리방법과 시설 등을 견학하면서 집행부에 청소업무의 비효율성을 개선하는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건의하는 등 많은 노력을 해왔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는 아직도 포항의 청소행정은 멀었다고 본다. 집행부에게 많은 주문을 해보지만 실천에 옮기지 못하는 것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생활쓰레기는 무엇보다 가정에서부터 줄이는 것이 최상책이다. 가정에서 배출량을 조금만 절감한다 해도 연간 세수절약은 엄청나다. 경제사정이 어려워서인지는 몰라도 배출량이 매년 줄어들고는 있지만 그것으로 부족하다는 느낌이다.

포항시가 더 적극적인 생활쓰레기줄이기 실천에 나서야 한다. 매번 해당상임위원회인 보사산업위가 열릴때마다 이 같은 주문을 집행부에 해보지만 제대로 실천에 옮겨지지는 못하고 있다. 지금 포항시는 아마 우선순위를 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 생활쓰레기 줄이기와 분리배출을 주문하지만 집행부에 되돌아오는 답은 그저 그런 답들뿐이다. 의지가 부족한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해 우려스럽다.

사실 필자가 시내 곳곳을 다녀보면 분리배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현장을 쉽게 목격한다. 이건 아닌데 싶지만 집행부의 움직임은 더디기만 하다. 거창한 대형 프로젝트를 통해 쓰레기를 감축하려는 방안만 생각하고 있는 것 같은데 작은 것 하나부터 실천하는 것이 우선임을 명심해야 한다.

사실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사회적 화두가 된 것이 바로 저탄소 녹색성장이다. 녹색성장 없이는 예산 따내기가 어렵다는 말이 돌 정도다. 실제로 그런 것 같기도 하다. 쓰레기줄이기는 바로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이산화탄소배출량 감소의 실천전략 가운데 하나다. 쓰레기줄이기와 분리배출이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52만 포항시민이 하루 배출하는 생활쓰레기는 670여t. 재활용품 190t, 음식물쓰레기 160t을 제외한 320t 정도가 매립장에 반입되어 그 일부는 선별을 거쳐 재활용되고 280여t이 매립된다.

이런 추세라면 6년 후인 2015년이 되면 호동쓰레기매립장은 포항상태가 되고 이만한 크기의 매립장을 조성하려면 300억원이 넘게 들뿐만 아니라 매립장 년간 운영비가 21억원, 매립종료 후 20여 년간 사후관리비용이 63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하니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생활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률을 높인다면 매립장 수명연장은 물론이고 쓰레기발생량을 70% 줄일 경우 t당 처리 4만5천700원을 대입해보면 연간 처리비용만 32억원 이상이 줄어든다. 이를 단순 계산했을 때 10년이 경과하면 현재 규모의 매립장을 신규로 조성 할 수 있는 예산이 절감된다. 여기에다 수거비용, 매립장운영비, 사후관리비까지 합치면 더 늘어나게 된다.

쓰레기감축과 분리배출을 통한 재활용은 시급한 현안이다. 어른들을 먼저 그리고 관공서가 나서 적극적인 실천의지를 보여야 한다. 이렇게 하면 어린 학생들이 분리배출을 몸에 익히게 되고 나아가 쓰레기 줄이기 홍보대사가 되어 자연스레 부모와 이웃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는 파급 효과도 있을 것이다.

여기에다 쓰레기를 확 줄이고 시민의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주민과 행정이 함께 참여하는 가칭 `범시민쓰레기줄이기추진위원회`를 구성, 운영하여 쓰레기가 제대로화될때까지 시대적 사명감을 갖고 그 실천과제를 선정하여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분리수거 등을 통한 쓰레기다이어트야말로 이산화탄소량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적극적인 환경사랑운동이라고 확신한다.

포항시에게 다시 한번 주문해본다. 쓰레기배출량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즉시 감축해나가는 시민실천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갈 것을 말이다.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쓰레기배출 감소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은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