近來安否問如何(근래안부문여하)

요사이 안부를 묻노니 어떠하시나요?

月到紗窓妾恨多(월도사창첩한다)

달 비친 사창(紗窓)에 저의 한이 많습니다.

若使夢魂行有跡(약사몽혼행유적)

꿈속의 넋에게 자취를 남기게 한다면

門前石路半成沙 (문전석로반성사)

문 앞의 돌길이 반쯤은 모래가 되었을 걸.

- 시문집 `가림세고(嘉林世稿)`

`옥봉집(玉峰集)`은 조선 선조 때 옥천 군수를 지낸 이봉의 서녀(庶女)로 태어나 조원의 소실(小室)이 된 숙원이씨 이옥봉의 시집이다. 조원·조희일·조석형 3대(代)의 시문(詩文)을 묶은 `가림세고(嘉林世稿)`의 부록으로 전한다. 유교적 가부장 중심의 조선 사회에서 서출(庶出)로 더구나 여자로 태어난 것 때문에 시를 마음껏 써보지 못하고, 또 시 창작으로 남편과 영원히 헤어져 살아야 했고 끝내 자신이 쓴 시를 안고 바다에 뛰어들어 생을 마감한 비운의 여류 시인 이옥봉. 그가 남긴 32편의 한시는 대부분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기다림과 그리움의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칠언 절구의 `몽혼(夢魂)`도 기다림과 그리움의 노래다. 임을 만나기는 현실에서는 불가능하니 꿈속의 넋을 빌리는 가정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애절한 사랑을 그려내고 있다. 꿈속의 넋인 몽혼(夢魂)이 그리움에 목메어 하도 찾아 달려가 당신 사는 문 앞의 돌길이 모래가 되었을 것이라는 저 여인의 깊은 한(妾恨多)을 어찌할꼬? 시적 화자가 부르는 이 사랑의 노래가 너무 애틋하고 절절하다. 비운의 모습으로 끝나버린 여인 이옥봉의 삶과 그 한이 안타깝고 애절타. 내 전생(前生) 또 그 전생의 삶에서 이러한 여인을 남겨 두지는 않았는지? 그녀의 다른 시 오언 절구 `규정(閨情)`이라는 작품도 애절한 기다림과 그리움의 노래다. “有約來何晩(돌아온다 언약해놓고 어찌 이리 늦나요.)/庭梅慾謝時(뜰에 핀 매화는 벌써 시들려 하는데)/忽聞枝上鵲(문득 가지 위의 까치소리 듣고서)/虛畵鏡中眉(부질없이 거울 보며 눈썹 그려요.)” 이 시의 화자는 까치 우는 소리에 새로 화장을 하며 임을 기다린 게 한두 번이 아닐 것이다. 부질없는 것인 줄 알면서 또 거울을 보며 눈썹을 그리는 저 여인의 마음이 못내 안타깝기만 하다.

해설<이종암·시인>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