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유리라고는 하지만 도봉산이 바로 咫尺이라고는 하지만 서울 한복판인데 이건 정말 놀라운 일이다 정보가 매우 정확하다 훌륭하다 어디서 날아온 것일까 벌떼들, 꿀벌떼들, 우리집 뜨락에 어제 오늘 가득하다 잔치잔치 벌였다 한 그루 활짝 핀, 그래, 滿開의 산수유, 노오란 꽃숭어리들에 꽃숭어리들마다에 노오랗게 취해! 진종일 환하다 나도 하루종일 집에 있었다 두근거렸다 잉잉거렸다 이건 노동이랄 수만은 없다 꽃이다! 열려 있는 것을 마다할 것이 어디 있겠는가 그런 건 세상 어디에도 없다 그럴 까닭이 있겠는가 사전을 뒤적거려 보니 꿀벌들은 꿀을 찾아 11킬로미터 이상 往復한다고 했다 그래, 왕복이다 나의 사랑도 일찍이 그렇게 길 없는 길을 찾아 왕복했던가 너를 드나들었던가 그래, 무엇이든 왕복일 수 있어야지 사랑을 하면 그런 특수 통신망을 갖게 되지 光케이블을 갖게 되지 그건 아직도 유효해! 한 가닥 염장 미역으로 새카맣게 웅크려 있던 사랑아, 다시 노오랗게 사랑을 採蜜하고 싶은 사람아, 그건 아직도 유효해!

- 알詩(세계사·1997)

 

봄을 이끌고 오는 꽃들의 행진 맨 앞에 하얀 매화와 노오란 산수유가 자리하고 있다. 내가 살고 있는 한반도 남쪽 포항에는 그 꽃들이 엊그제 막 지나갔는데, 그들은 지금 한반도 어디쯤 가고 있을까? 서울까지는 갔는가 몰라. 정진규의 ‘산수유-알1’는 서울 한복판 수유리 시인의 집 뜨락에 노오란 꽃숭어리들로 만개한 산수유와 그 꽃에 노오랗게 취해 잉잉거리며 잔치를 벌이고 있는 꿀벌떼들의 풍광, 또 거기에 그대로 교접(交接)된 정진규 시인의 몸과 마음이 펼쳐놓는 한바탕 사랑의 잔치 마당을 펼쳐 보이고 있다. 그 모양이 가히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이다. 시인은 꽃을 찾아 11킬로미터 이상 왕복으로 드나드는 꿀벌을 보면서 ‘사랑의 光케이블’을 발견한다. 그래서 “나의 사랑도 일찍이 그렇게 길 없는 길을 찾아 왕복했던가 너를 드나들었던가”라고 자신의 사랑을 떠올린다. 그리고 다시 노오랗게 채밀(採蜜)할 사랑을 갖고자 한다. 꽃이 사랑이요, 사랑이 생명이다. 그건 알의 본래적 모습 바로 그것이다. 정진규 시인의 연작시집 ‘몸詩’(세계사·1994)와 ‘알詩’(세계사·1997)는 지난 90년대 우리 시단에 생명(생태)과 몸(육체)의 문제를 분명하게 각인시켜놓은 중요한 시집이었다. 시집 속에 수록된 시편들의 형태가 대부분 산문시인데, 그 줄글이 갖는 리듬감이 또한 놀랍다. 평범한 운문시의 율격을 훌쩍 뛰어넘는다. 지금 다시 소리 내어 시를 낭독해보라. 시의 리듬을 따라 일어서는 사랑의 꽃 사태를 만날 테니.

해설<이종암·시인>

 

    관리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